싱크홀에 대한 불안감이 커진 시민들의 오인 신고가 급증하고 있다. 사진은 지난 14일 서울 마포구 서교동 일대에 발생한 싱크홀 현장의 모습. /사진=뉴스1
16일 머니투데이에 따르면 이날 국민권익위원회는 지난달 24일부터 30일까지 전국 지방자치단체에 접수된 싱크홀 관련 민원은 415건에 달했다. 권익위 측 관계자는 "최근 싱크홀로 인한 인명사고가 발생한 뒤 싱크홀 관련 민원이 급증했다"며 "시민들의 불안감이 높아지며 도로 균열 및 지반침식 관련 민원이 접수됐다"고 밝혔다.
최근 계속된 싱크홀 피해로 인명사고까지 발생하자 시민들의 불안은 최고조에 이르렀다. 지난 14일 서울시는 관악구 삼성동 재개발구역에 땅이 꺼진 것처럼 보인다는 신고를 접수했다. 그러나 해당 구역은 싱크홀과 무관하게 도로 일부가 깨진 상태였다. 같은날 서울 영등포구 당산동에서도 싱크홀 의심 신고가 접수됐지만 오인 신고였다.
서울시 측 관계자는 "최근 싱크홀 오인 신고가 많아졌다"며 "도로가 파손된 것을 싱크홀로 착각하는 등 오인 신고가 하루 최소 2~3건씩 접수되고 있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시민들의 신고가 오인 신고일지라도 적극적인 문제 제기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박창근 가톨릭관동대 토목공학과 교수는 "땅이 주저앉는 등 이상 징조를 목격하면 신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오인 신고이더라도 실시간으로 이상 현상을 발견한 시민 신고를 통해 더 큰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조원철 연세대 토목환경공학과 명예교수는 "지속적인 재정 투자를 통해 노후 기반 시설을 관리해야 한다"며 "관리 현황도 투명하게 공개해 싱크홀에 대한 시민들의 불안을 해소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시민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노후 시설 관리 및 현황 공개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조원철 연세대 토목환경공학과 명예교수는 "지속적인 재정 투자를 통해 노후 기반 시설을 관리해야 한다"며 "관리 현황도 투명하게 공개해 싱크홀에 대한 시민들의 불안을 해소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서울시는 경찰서 등과 협력체계를 통해 협의 절차와 대응 시간을 줄이는 방안을 모색했고 '신속 현장 점검시스템'을 구축하기로 결정했다. 또 지반침하 사전 징후에 대한 보수 공사가 완료되면 지표투과레이더(GPR) 탐사도 추가로 진행할 예정이다.
탐사 수간과 공동(땅속 빈 곳) 발견 위치와 복귀 내용 등은 '서울안전누리' 누리집과 공사장 현장 게시판 등에서 공개할 예정이다. 싱크홀의 주된 원인이 되는 노후 상·하수관로에 대해선 전수조사와 연차별 정비도 실시한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