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현지시각)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41.74포인트(0.35%) 오른 4만669.36에 마감했다. S&P500지수는 8.23포인트(0.15%) 상승한 5569.06에 마쳤다. 기술주 중심 나스닥종합지수는 14.98포인트(0.09%) 내린 1만7446.34였다. 다우지수와 S&P500 지수는 이날까지 7거래일 연속 올랐다.
미국 역성장 소식은 장중 시장 우려를 키웠다. 미국 상무부는 1분기 역성장(연율 기준 -0.3%)을 기록한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속보치를
발표했다. 지난해 4분기 성장률 2.4%에서 크게 둔화해 2022년 1분기 이후 처음으로 역성장이 나타났다.
오후에는 미국 무역전쟁 완화 기대감이 주가를 밀어 올렸다. 중국 관영 CCTV는 미국이 관세 논의를 위해 중국과 적극 접촉하고 있다고 밝혔다.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 장관도 일본과 인도 등 국가들과의 무역 협상에 진전이 있음을 시사했다. 하워드 러트닉 상무부 장관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새 25% 자동차 관세 일부를 면제할 것이라고 했다.
3월 개인소비 지출(PCE) 물가지수는 2.3% 상승으로 시장 예상치 2.2%와 대체로 부합했다. 이에 연방준비제도(Fed 연준) 기준금리 방향성 우려도 잠잠했다.
장 마감 후에는 마이크로소프트(MS)와 메타 플랫폼스가 깜짝 실적을 발표해 애프터마켓에서 급등했다. MS가 6.93%, 메타가 5.36% 상승했다. MS는 지난 분기 매출을 시장 예상치 684억달러(약 97조5384억원)를 웃도는 700억달러로 발표했다. 주당 순익도 3.46달러를 기록해 예상치(3.22달러)를 넘었다.
메타 역시 매출 423억달러와 주당 순이익 6.43달러로 시장 예상치를 웃돌았다. 이번 실적 발표에서는 인공지능(AI) 투자를 늘린다고 한 점도 주목받았다. 이 영향으로 엔비디아도 3.72% 올랐다. 앞선 정규장에서는 메타와 엔비디아 모두 1% 미만 하락 마감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