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3일 머니S가 주최한 '트럼프 관세전쟁과 한국 경제 생존전략' 좌담회에서 오건영 신한프리미어 패스파인더 단장은 "변동이 잦은 미국의 관세 정책으로 불확실성이 확대되고 있다"며 "새로운 시장을 찾으려는 각국의 노력이 강해질 것 같다"고 강조했다.
━
규범 기반 무역 질서 강화… 'CPTPP' 주목━
오 단장은 "상호관세가 90일 이후에 확정될지 미지수고 중국에 물러난 것과 같은 사례가 또 생길 수 있다"며 "많은 시나리오가 열리는 상황에서 신뢰성이 보장되는 규범 중심 무역 수요가 늘어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일본 주도의 포괄적·점진적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CPTPP)의 중요성이 커질 수 있다는 게 그의 견해다. 일본, 캐나다, 호주, 베트남 등 주요 12개국이 가입해 있는 CPTPP는 현재 유럽연합(EU)과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모색하고 있다.
오 단장은 "CPTPP는 몇 년 후에 중요한 단어가 될 것"이라며 "EU와 협력을 했을 때 미국, 중국을 제외한 거대한 새 시장이 형성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 과정에서 규범 중심의 무역 질서가 강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오 단장은 "FTA라는 계약서를 만들어놨지만 트럼프의 관세 조치로 사실상 무효화됐다"며 "이를 지켜본 국가들 사이에서 규범에 기반한 무역 질서를 원하는 목소리가 높아지는 건 당연한 흐름"이라고 짚었다.
실제로 트럼프 행정부는 집권 1기,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을 대체해 미국·멕시코·캐나다 무역협정(USMCA)을 체결했지만 취임 초부터 캐나다와 멕시코에 25% 관세를 발표해 갈등을 겪은 바 있다. 한국 역시 상호관세 대상국에 포함되면서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은 사실상 힘을 잃은 상태다.
━
미국 빠진 세계화 '가속'… 신흥 시장 초기 선점 중요해━
최근 주요 국가들은 미국을 제외한 자유무역협정 체결에 속도를 내고 있다. 영국과 인도는 3년 넘게 지연됐던 FTA를 타결하며 주력 수출품에 대한 관세 인하를 약속했다. EU는 남미공동시장(MERCOSUR·메르코수르)와 무역협정 합의에 도달했다. 중국과 러시아가 주도하는 브릭스(BRICS)의 협력도 한층 강화되는 분위기다.
미국이 빠진 세계화가 진행되는 상황에서 오 단장은 국내 기업들의 발 빠른 대응을 강조했다. 새로운 시장이 열릴 때 초기에 진입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설명이다.
그는 "미국 외의 대안을 찾고자 하는 건 다른 국가들도 마찬가지"라며 "기업들은 기밀하게 국제 정세를 파악하고 새로운 시장의 가능성을 타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시시각각 변하는 미국의 관세율을 주시하기보다 대안의 활로를 찾는 게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