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재혁 에이유브랜즈 리테일 총괄 이사는 자신감이 넘쳤다. 그는 지난달 상장한 패션업체 에이유브랜즈의 향후 성장 방향과 함께 주가 부양의 방법을 이 같이 언급했다. 향후 글로벌 시장에 더욱 집중해 기업의 외형성장은 물론 주가 반등도 꾀하겠다는 각오다.
지난 19일 최재혁 이사는 서울 성동구 성수동 에이유브랜즈 본사에서 머니S와 인터뷰를 진행했다. 20여년 패션업계에 종사한 최 이사는 신세계 인터내셔날에서 해외 패션 사업을 총괄했고, 지난해 11월 에이유브랜스에 합류했다. 지난해 말부터 올해 초 까지 중국, 일본, 홍콩, 마카오, 대만, 태국 등 6개 국가와 계약을 체결하며 에이유브랜즈 해외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
코스닥 입성한 에이유브랜즈, 패션 상장사 한계 극복할 것 ━
국내외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하는 수요예측에서는 총 816대1의 경쟁률을 기록하며 공모가는 희망밴드 최상단인 1만6000원으로 확정했다. 이후 진행된 일반투자자 대상 공모청약에서도 969.32대1의 경쟁률을 기록했고 상장 당일에는 장 중 최고 82.18% 상승하며 '따블'을 기록했다.
그러나 현재(19일 종가 기준) 에이유브랜즈 주가는 1만3720원을 기록하며 기존 공모가를 하회한다. 이에 대해 최 이사는 "투자자들의 반응을 봤을 때 현재 시장은 에이유브랜즈에 관해 공부하고 있는 단계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최 이사는 "패션 섹터 자체가 기존 시장에서 인기 있는 섹터가 아니고 패션 상장사들이 IR도 익숙하지 않다"며 "꾸준한 실적 발표와 IR 활동을 통해 에이유브랜즈의 밸류에이션이 충분히 시장에 반영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현재 체결된 계약 수주들이 에이유브랜즈의 향후 실적을 뒷받침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 이사는 "현재 6개 해외 국가와 계약을 체결완료했고 앞으로 3년 동안 소매 매출 기준 2500억원, 홀세일 매출 기준 1000~1200억원의 실적이 미니멈으로 예상된다"며 "해외 수주와 리테일 실적에 더해 개런티 매출 등으로 추가적인 실적을 기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에이유브랜즈는 해외 매출을 지속해서 확대하겠다는 계획이다. 올해 회사가 목표로 하는 해외 매출 비중은 15% 수준으로 향후 이 비중을 더욱 늘려갈 방침이다.
이러한 에이유브랜즈의 매출 구조는 대부분이 국내 리테일인 기존 패션 회사들과는 다르다. 이에 대해 최 이사는 "기존 패션 회사들과 다른 매출 구조이지만 리스크 분산에 괜찮은 구조"라고 설명했다. 국내는 물론 다양한 국가에서 매출 군을 확보할 수 있어 한 국가에서 리스크 요인이 발생하더라도 다른 국가의 매출액으로 보완이 가능한 구조라는 설명이다.
━
'글로벌 스탠다드'가 목표… 해외 시장 노린다━
락피쉬웨더웨어는 10대~30대 초반의 여성들을 겨냥한 사계절 웨더웨어 브랜드다. 락피쉬웨더웨어는 현재 레인부츠 외에도 메리제인, 스니커즈, 겨울화, 방한용품 등 트랜디한 계절 패션 아이템을 선보이고 있다.
다만 시장에서는 락피쉬웨더웨어의 주 소비층이 10대 ~30대 여성으로 한정되어 있어 매출군이 다양화 될 수 없다는 것에 대한 우려가 나온다. 최 이사는 매출군에 대한 한계는 추가적인 브랜드 개척을 통해 극복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남성복 등 다양한 브랜드 출범을 통해 에이유브랜즈가 가진 브랜드 파워를 확대하고 각 브랜드만의 고유한 특성을 살려 주 소비층을 공략하겠다는 계획이다.
최 이사는 "현재 확정된 계획은 130년 역사를 가진 더플코트 주력 브랜드 오리지널 몽고메리를 인수를 완료한 것"이라며 "어떻게 제 2의 락피쉬웨어웨어로 키워나갈지가 관건"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락피쉬 웨더웨어가 레인부츠를 시작으로 다양한 제품군을 확장했듯 오리지널 몽고메리 또한 주력 상품인 더플코트로 시작해 다양한 상품군을 선보일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마지막으로 최 이사는 "에이유브랜즈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방향성은 한국의 패션회사 성공 공식을 버리고 글로벌 스탠다드 맞추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글로벌 계약, 매출, 리테일 네트워크 등 모든 영역에서 글로벌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다"며 "브랜드, 인력, 고객도 글로벌화 해 에이유브랜즈를 글로벌 브랜드로 확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