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1일 서울 여의도 소재 카페에서 만난 이영호씨(26·가명)는 다음 대통령으로 어떤 인물을 원하느냐는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사회 구조적으로 1인 가구가 늘어나고 있는 만큼 1인 가구의 주거 안전을 지키는 건 정부의 응당한 책임이라는 게 핵심이다. 이씨는 1인 가구가 주거 관련 지원책을 온전히 누릴 수 있도록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적극적인 홍보도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
사실상 '강제' 상경… "지방엔 기회가 없어요"━
전북 전주 출신인 이씨는 서울에서 1인 가구로 생활한 지 햇수로 8년째다. 대학교 진학을 위해 2018년 상경한 뒤 취업에 성공한 현재까지 1인 가구로 지내고 있다. 꽤 오랜 기간 혼자 살고 있지만 여전히 부모님의 잔소리가 그립고 퇴근 후 집에 들어왔을 때 느껴지는 공허함은 적응되지 않는다고 한다.이씨가 서울로 올라와 1인 가구가 된 건 불가피한 선택이었다. 지방소멸 우려가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양질의 일자리를 찾고 사회적으로 자리 잡기 위해선 서울로 올라와야만 했다는 게 이씨 설명이다. 대학생 시절만 두고 봐도 지방의 경우 사회적 인맥 풀(Pool)이 좁고 대외활동 기회도 많지 않다고 한다. 근무환경이 좋은 대기업 등 주요 기업의 본사 역시 서울에 주로 위치한다.
이씨는 "전북 소재 국립대학교에도 합격했으나 제 미래를 위해 어쩔 수 없이 서울 소재 대학을 선택했다"며 "지방 인프라가 잘 갖춰져 있는 등 지방에 머무를 이유가 있다면 지방에 있겠지만 그렇지 않아 서울로 올라왔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고등학생 시절 친구들 대부분이 수도권에 올라와 지낸다"며 "성공의 기회가 서울에 몰려있는데 지방에 머무를 사람이 어디 있겠는가"라고 덧붙였다.
━
쏟아지는 '1인 가구' 정책… "홍보가 더 중요"━
이씨는 "직접 발품을 팔아 찾지 않는 이상 자신에게 맞는 1인 가구 지원책을 알기 쉽지 않다"며 "지원책이 많아도 시민이 관련 내용을 알지 못한다면 소용없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1인 가구 지원 제도를 살펴보고 자신이 지원 대상이 되는지 상담할 수 있는 창구가 많아졌으면 한다"며 "지자체별로 따로 홍보하고 있는 1인 가구 지원 제도를 정부 차원에서 통합해 한 번에 안내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했다.
이씨는 중장년층 1인 가구도 살뜰히 챙겨야 한다고 강조했다. 온라인 환경에 익숙한 청년은 인터넷을 통해 관련 정보를 비교적 쉽게 접할 수 있으나 중장년층의 경우 그렇지 않아서다. 1인 가구 지원책이 청년에 쏠리고 있는 점도 중장년층의 소외를 유발할 수 있다. 이씨는 "1인 가구만 두고 봤을 때 오히려 청년보다는 중장년층이 취약계층에 가깝다"며 "청년 1인 가구를 지원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중장년층을 더 배려해주는 게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전세 사기 피해자 적극 구제 필요… 처벌보다는 예방"━
이씨는 "서울 강서구 화곡동에서 일어난 대규모 전세 사기에 대한 피해자 구제가 아직 완벽히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안다"며 "전세 사기 피해자 구제가 제대로 되지 않으면 1인 가구가 안심하고 월세에서 전세로 넘어갈 수 있겠는가"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전세 사기 가해자를 처벌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사기를 예방하는 것이 제일 중요하다"며 "대규모 전세 사기가 재발하지 않을 것으로 확신할 수 없기 때문"이라고 부연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