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간다 동부 부소가 지역 성·생식·모자·청소년 보건 서비스 개선을 위한 보건 시스템 강화사업 준공식에 참석한 안지희 코이카 우간다 사무소장(왼쪽부터), 우간다 다이애나 앳윈 보건부 사무차관, 카손데 므윙가 WHO 우간다 대표가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코이카
취약한 보건 인프라로 의료 사각지대에 놓여있던 우간다 현지 주민 148만명이 대한민국 정부의 지원으로 보다 나은 보건 환경과 의료 서비스를 누릴 수 있게 됐다.

코이카(KOICA·한국국제협력단)는 4일(현지시각) 우간다 동부 부소가 지역 이강가 지구에서 보건소 28개소 개보수 완료를 알리는 준공식을 개최했다고 7일 밝혔다. 2020년부터 코이카가 WHO(세계보건기구), 우간다 보건부와 함께 추진한 '우간다 동부 부소가 지역 성·생식·모자·청소년 보건 서비스 개선을 위한 보건 시스템 강화사업'의 마지막 공식 일정이다.


이날 행사에는 안지희 코이카 우간다사무소장, 다이애나 앳윈 우간다 보건부 사무차관, 카손데 므윙가 WHO 우간다 대표 등 관계자들이 참석해 시설 개보수를 마친 지역 보건소를 방문하고 지역 주민들과 간담회를 가졌다.

부소가 지역은 우간다 동부의 대표적인 낙후 지역으로 의료 인력이 부족하고 필수 장비와 시설이 제대로 갖춰지지 않아 응급 상황에 시기적절하게 대응하기 어려웠다. 상당수 산모들이 숙련된 의료인 없이 출산하고 있어 산모와 영아의 사망률이 전국 평균보다 높은 상황이었다.

코이카는 WHO와 지역 내 가장 열악한 28개 보건소들을 대상으로 전면적인 개보수 작업을 실시했다. 건물 보수와 함께 필요한 의료 기자재를 공급하고 콜드체인을 구축했으며, 관정 및 빗물 저장 시스템으로 깨끗한 물을 확보해 보건소의 진료환경을 개선했다. 앰뷸런스 배치와 운영위원회 구성을 통해 응급 이송 체계도 가동하기 시작했다.


지역사회 보건 역량을 키우기 위한 교육도 함께 이뤄졌다. 보건 인력 160여명에게 산모·신생아 진료, 응급처치 등 실무 교육을 실시하고 청소년 2400여명과 교사 680여명에게 성·생식·보건 교육을 제공했다.

이번 사업을 통해 교육받은 카티예레라 4단계 보건소의 나무스와 아이린 조산사는 "이전에는 월 60명 수준이던 출산 건수가 현재는 130명 이상으로 증가하고 있다"며 "산모들이 보건소를 더 많이 찾게 된 이유는 산전 관리와 가족계획 인식이 개선되고 청소년 대상 성·생식 보건 교육이 확대됐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안지희 코이카 우간다사무소장은 "이번 사업은 지역 주민의 건강을 실질적으로 지키는 데 꼭 필요한 요소들을 하나씩 채워가는 과정이었으며 WHO와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수원국 정부와 삼각협력 구조로 수행한 모범적 ODA 사례로 평가 받을 수 있을 것"이라며 "앞으로도 개발도상국과 함께 회복·성장하는 지역 맞춤형 협력을 지속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