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7일(현지시각)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루스소셜에 이재명 대통령을 수신자로 지정한 서한을 공개하며 "우리의 관계는 유감스럽게도 상호주의와 거리가 멀었다"면서 "2025년 8월1일부터 우리는 미국으로 보낸 모든 한국산 제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할 것이며 이 관세는 모든 품목별 관세와 별도"라고 밝혔다. 이어 "어떤 이유에서든 한국이 대미 관세를 올리면 한국에 부과한 25%에 그만큼의 관세가 더 추가될 것"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서한에서 "이 서한을 보내게 돼 매우 영광"이라며 "이는 한미간 무역관계의 강력함과 상호 헌신을 보여주는 동시에, 미국이 한국과의 상당한 무역적자에 불구하고 협력을 계속하기로 했다는 점을 의미한다"고 밝혔다. 이어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앞으로 보다 균형 잡히고 공정한 무역을 통해서만 한국과 함께 나아가기로 했다"며 "이에 따라 한국이 세계 제1의 시장인 미국의 탁월한 경제에 참여하도록 초대한다"고 적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수년 동안 우리는 한국과 무역관계에 대해 논의해왔고 한국의 관세 및 비관세 정책, 무역장벽으로 인해 발생한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무역적자 상태에서 이제 벗어나야 한다는 결론에 이르렀다"며 "한미 관계는 유감스럽게도 상호주의와는 거리가 있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오는 8월1일부터 우리는 한국에서 수입되는 모든 제품에 대해 기존의 부문별 관세와는 별도로 25%의 관세를 부과할 예정"이라며 "높은 관세를 피하기 위해 제3국을 경유한 물품 역시 높은 관세 대상이 된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25% 관세는 한미간 무역적자 격차를 해소하기에 충분하지 않다는 점을 알아주시기 바란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한국과 기업들이 미국에서 제품을 생산하거나 제조하기로 결정할 경우 관세가 없을 것"이라며 "미국 정부는 인허가 절차를 전문적으로 처리할 것, 다시 말해 수주 안에 처리할 것"이라고도 밝혔다. 제조업체가 미국에서 제품을 생산할 경우 관세를 물리지 않겠다는 것은 트럼프 대통령이 그동안 수차례 밝혀왔던 방침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무역협상 상황에 따라 이번 조치가 시정될 수 있다는 점도 재차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관세는 미국에 대한 한국의 관세와 비관세장벽, 정책, 무역 장벽으로 발생한 지속 불가능한 무역적자를 바로잡기 위해 필요하다는 점을 이해해달라"며 "한국이 지금까지 미국에 폐쇄했던 시장을 개방하고 관세와 비관세, 정책 장벽을 철폐할 의사가 있다면 이번 조치의 조정 가능성을 검토할 수 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