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우 노재원 / 넷플릭스 오징어 게임3 제공

(서울=뉴스1) 윤효정 기자 = '오징어 게임3' 노재원이 임시완을 최고의 빌런으로 꼽았다.

엔터테인먼트 서비스 넷플릭스 드라마 '오징어 게임 시즌3'(극본/연출 황동혁)에서 남규 역할로 열연한 노재원은 9일 오후 1시 서울 종로구 한 카페에서 뉴스1과 만나 인터뷰를 가졌다.


'오징어 게임3'는 자신만의 목적을 품고 다시 참가한 게임에서 가장 친한 친구를 잃고 만 기훈(이정재 분)과, 정체를 숨긴 채 게임에 숨어들었던 프론트맨(이병헌 분), 그리고 그 잔인한 게임 속에서 살아남은 참가자들의 마지막 운명을 그린 이야기다. 지난 2021년 9부작 시즌1, 2024년 7부작 시즌2에 이어 지난 6월 27일 시즌3 6회 전편을 공개했다.

시즌2부터 합류한 노재원은 클럽 MD 출신의 게임 참가자 남규를 연기했다. 지난 시즌2에서 타노스(최승현 분)에게 이름조차 제대로 불리지 못하고 무시당했지만, 자신보다 약한 참가자들을 괴롭히며 글로벌 시청자들의 분노를 자아낸 인물이다.

타노스의 부재 속에서 그의 랩과 행동을 따라 하고, 민수(이다윗 분)의 트라우마를 집요하게 자극하며 괴롭힘을 이어갔다. 명기(임시완 분)에게는 악행을 조장하는가 하면, 약물에 취한 채 죄책감 없이 참가자들을 해치는 모습으로 시즌3 최고의 빌런으로 등극했다.


<【N인터뷰】①에 이어>

-남규는 폭력성이 강한 캐릭터다.

▶사람을 학살하듯 죽이는 잔인한 인물인데, 그렇게 접근하면 와닿지 않을 것 같더라. 아이들이 장난을 친다고 생각하고 연기했다. 평소에 할법한 모습이 아니다. 여기(게임장)는 그렇게 평소에 할 수 없는 걸 해볼 수 있는 곳 아닌가. 남규도 여기서 폭력성이 보이는 활약을 할 수 있다고 생각했을 것 같다.

-약물에 중독되는 인물이다. 참고한 작품이 있나.

▶작품은 많이 봤지만 참고하지는 않았다. 뭔가 따라 하고 싶지는 않았다. 내가 언제 제일 아프고 어떤 감각을 활용했을 때 편한지 찾으려고 했다. 숙취나 간지러움이나 좀이 쑤셔서 잠을 못 잘 것 같은 느낌을 생각하며 연습했다.

-시즌1의 빌런들과 비교되는데.

▶시즌1과 비교하면서 연기하지는 않았다. 완전히 다른 인물이고 다른 상황이라고 생각했다. 남규가 최종 빌런이라고 생각하면서 연기하지는 않았고, 인물의 변화를 생각하며 연기했다.

-최고의 빌런은 누구라고 생각하나. 임시완은 남규라고.

▶시완이 형이라고 생각한다. 남규도 못 됐지만 시완이 형(명기 역)이 아닐까. 명기로서 타노스, 민수가 나를 무시하는데 명기가 함께해주니까 친구와 놀러 다닌다고 생각하고 연기했다. 그 마음으로 '오겜3'를 봤는데 저 죽고 나서 게임을 하는 '명기를 보면서 보통 놈이 아니구나' 놀랐다. 나 까짓 게 명기와 동등하다고 생각하고 돌아다녔구나 충격을 받았다. '아기만 넘겨' '준희랑 뭐 있었어?' 같은 대사도 충격적이었다. (임시완의) 연기가 너무 인상적이어서 명기를 더 잘 알게 됐다. 벼랑 끝에서 살려고 발악하는 게 이해가 되더라.

-넷플릭스 다작 행보다. 활약 모음 영상도 나왔더라. 최근 많은 주목을 받는 소감은.

▶넷플릭스에서 동영상을 만들어준 게 너무 신기했다. 만들어준 분에게 감사 인사를 드리고 싶다. 주목받는 것도 감사하고 많은 분들이 연기 잘한다고 해주시는 것도 기분 좋고 감사할 따름이다. 한편으로 앞으로 해야 할 작품에 집중하고 싶다. 칭찬을 받으면 들뜨고 불안하기도 하다. 생각도 더 많이 하게 되고 돌이켜보게 되고 생각도 많아진다.

-다작 행보 속에서 '다른' 연기를 보여줘야 한다는 부담은 없는지.

▶크게 다르다고 생각하고 시작하지는 않았다. 다 내 안에 있는 모습이기도 해서, 제가 진심으로 연기할 수 있는 지점만 찾으면 다르게 보여야 한다고 생각은 안 하게 되더라. '나라면 이럴 수 있겠다' '저럴 수 있겠다' 생각하면서 임했다. 또 너무 재미있고 특색있는 역할을 맡아 왔다. 역할이 주는 힘이 있었다.

-배우를 꿈꾸면서 생각한 미래보다 빠른 성공인가.

▶'생각보다 빠른가' 생각한 적도 있다. 누군가 알아보면 몸 둘 바를 모르겠더라. '정신병동' 이후인 것 같은데 그때 실감했던 것 같다. 학교 다닐 때 '10년 뒤 내 모습' 적은 걸 보면 그때 꿈은 더 컸더라. (웃음) '30세에 신인상을 받고 감독들이 눈여겨보는 배우가 될 거야' 그런 걸 적었더라. '오징어 게임'은 제가 생각한 것보다 더 큰 프로젝트였다.

<【N인터뷰】③에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