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지급 시기에 맞춰 스미싱 사기피해가 잇따르자 정부 및 관계부처가 합동 대응에 나선다. 사진은 지난 6일 서울 한 전통시장에 몰려든 인파. /사진=뉴스1
정부는 10일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지급 시기와 맞물려 문자결제사기(스미싱)가 기승을 부리자 주의를 당부했다. 스미싱은 정부·은행·카드사 등을 사칭해 악성 앱 설치 및 전화를 유도하며 금융·개인정보를 탈취하는 수법이다.

민생회복 소비쿠폰은 카드사 앱·누리집, 콜센터·ARS, 지역사랑상품권 앱·누리집 등에 접속해 온라인으로 신청하거나 은행 및 주민센터를 방문해 발급해야 한다.


신청자는 출처가 불분명하거나 의심스러운 인터넷 주소가 포함된 SNS 안내 문자를 받은 경우 클릭하지 말고 바로 삭제해야 한다. 스미싱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이번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과정에서는 URL이 포함된 문자·SNS는 일절 발송하지 않는다.

만약 문자를 열람했다면 문자의 인터넷주소(URL)를 절대 클릭하지 않도록 신중해야 한다. 스미싱 의심 문자를 받았거나 URL을 클릭했다면 24시간 운영 중인 한국인터넷진흥원 118 상담센터에서 상담받을 수 있다.

아울러 정부는 오는 14일 각 통신사 명의로 스미싱 피해예방 문자를 순차 발생해 스미싱에 대한 경각심을 높일 예정이다. 지방자치단체별 누리집 등에는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지급 안내 시 주의사항을 게시한다.


국민비서 알림서비스(네이버·카카오·토스 등 17개 사)도 적극 활용해 쿠폰 신청·지급 안내 시 스미싱 주의 메시지를 같이 발송한다.

스미싱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금융감독원·경찰청·한국인터넷진흥원 등은 스미싱 발생 및 신고 현황 모니터링을 강화한다. 피해 신고 접수 시 스미싱 정보를 분석하고 신속하게 수사에 착수한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