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16일 브리핑을 통해 '두 후보자에 대한 각종 의혹이 낙마 사유가 된다고 보느냐'는 질문에 "인사청문회 과정을 지켜보고 판단하겠다"고 밝혔다. 노동관계법 위반 진정 등 의혹을 사전에 인지했느냐는 물음에는 "더 확인해보겠다"고 말했다.
강 대변인은 '이번주 청문회가 끝나고 결론을 내느냐'는 질문에는 "시점도 사실 고려사항이다. 그 부분에 대해서도 고려가 있을 것"이라며 "아직 시점도 결정된 건 없다. 상황들을 주의 깊게 지켜보고 있다"고 했다.
여성 단체인 한국여성정치네트워크는 전날 "강선우 후보자의 갑질 의혹에 대한 답변은 그 자체로 강 후보자가 누렸던 위력의 양상을 보여준다"며 "후보자의 말과 행동은 장관 후보자로서 기본 자질뿐만 아니라 장관으로서 수행해야 할 역할 인식에서도 부적격자임을 드러냈다"고 비판했다.
성폭력 피해자를 지원하는 한국여성의전화도 "여성가족부 장관으로서 최소한의 자질과 능력은 찾아볼 수 없었다"고 지적했다. 진보당과 민주노동당 등 진보 진영에서도 강 후보자의 사퇴를 촉구하고 있다.
이진숙 후보자는 이날 오전 청문회 질의를 마친 상황이다. 최대 쟁점은 논문 표절 의혹으로 학계에서도 비판 여론이 거세다. 앞서 김건희 여사 논문 표절 의혹을 검증했던 교수단체 역시 이 후보자의 자진 사퇴를 촉구했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측은 전날 "공교육을 책임지기엔 자격이 부족하다"고 일축했다.
이에 이 후보자는 "모든 전문가가 지적하고 있지만 카피킬러를 그냥 돌려서 나오는 (논문 유사율 관련) 내용은 신뢰할 수 없다"며 논문 표절 논란에 반박했다.
그는 "카피킬러는 계속 자료가 같이 겹치기 때문에 유사자료가 겹칠 때마다 유사율이 높아진다"며 "그래서 전문가가 하나씩 (유사논문을) 다 제외해 가며 정확하게 돌려야 진정한 유사율이 나오는 게 정상"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그래서 지금 언론에 보고 되는 그런 것은 학계 상황을 이해하지 못한 상황에서 나온 결론으로 말씀드린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