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1일(이하 현지시각)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더그 오스터만 스텔란티스 CFO는 이날 애널리스트들과의 컨퍼런스콜을 통해 잠정적인 실적에 대해 이같이 밝혔다. 특히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관세 정책으로 인해 상반기에만 3억유로(약 4856억원) 비용이 발생했는데 하반기에는 이 수치가 두 배 이상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오스터만 CFO는 관세가 상반기 중간부터 시행된 점을 감안하면 연간 총손실 규모는 10억~15억유로(약 1조6189억~2조4284억원)에 이를 것으로 관측했다. 스텔란티스는 수소 연료전지 프로젝트 등 일부 사업을 중단하고 미국 탄소 배출 규제 관련 벌금에 대비해 자금을 적립했다. 해당 비용은 이번 상반기 실적에 33억유로(약 5조3423억원) 정도 반영됐다.
지난해 미국에서 판매된 스텔란티스 차량 120만대 중 40% 이상이 멕시코와 캐나다에서 수입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모든 수입산 자동차·부품에 관세 25%를 부과하고 있다.
스텔란티스는 지난 4월 관세 대응을 위해 자동차 수입을 줄였으며 "수익성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기 위해 생산·고용을 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애널리스트들은 스텔란티스 구조조정 조치에 대해 단호한 대응이라고 평가했다.
올 초 스텔란티스 CEO로 취임한 안토니오 필로사는 직원 서한을 통해 외부 요인 악화 속에서 어려운 상반기를 보냈다며 "2025년은 점진적이고 지속 가능한 개선의 해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 스텔란티스는 오는 29일 상반기 최종 실적을 발표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