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증권은 28일 리포트를 통해 LG에너지솔루션의 올해 2분기 영업이익은 4922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152%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5조6000억원으로 10% 감소했다. 미국 생산 보조금(AMPC) 효과를 제외한 영업이익률은 0.0%로 6개 분기 만에 적자에서 벗어났다.
올해 3분기 실적은 매출과 이익의 전 분기 대비 감소세가 중단될 것으로 전망했다. AMPC를 포함한 전사 영업이익률은 9.6%로 직전 분기 대비 0.8%포인트 개선될 것으로 예상했다.
김현수 하나증권 연구원은 "북미 전기차 수요 둔화로 인한 AMPC 감소에도 불구하고 에너지저장장치(ESS) 매출 증가와 현대차 아시아 공장 라인 가동률 상승 힘입어 AMPC 제외한 전사 영업이익률은 2.5%로 흑자 기조에 안착할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미국 ESS 생산이 시작되면서 실적 흐름상 중요한 변곡점에 진입했다는 평가다. LG에너지솔루션은 내년 17GWh(기가와트시), 2027년 30GWh 규모의 현지 ESS 공장을 본격적으로 가동할 전망이다.
김 연구원은 "해당 공장들은 지분율 100%를 보유한 단독 공장이므로 전기차 라인과 달리 kWh(키로와트시)당 35달러의 보조금을 고객사 공유 없이 모두 수취할 수 있다"며 "이는 연결 영업이익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지배주주 순익을 크게 끌어 올릴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보조금이 종료되는 2032년 이후에는 추가 증설 없이 기존 라인의 가동률이 최대치까지 올라온 상황에서 적정 순이익률 7% 달성이 가능할 것"이라고 했다. 마지막으로 김 연구원은 "주가 하방 압력은 제한적"이라며 "2년만의 이익 추정치 상향 조정 국면이라는 점에서 비중 확대를 권고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