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신세계가 추진하는 터미널부지개발_투시도(예시안)/사진=머니S DB.
복합쇼핑몰 건립에 뛰어든 광주신세계가 개점 속도에서 한발 앞서가는 '더 현대광주'와의 미래 경쟁에서 뒤쳐지지 않기위해 명품 매장 입점에 공을 들이고 있다.

11일 지역 관련업계에 따르면 광주신세계는 오는 11월 미국 명품브랜드 톰 브라운의 매장을 오픈할 예정이다.


톰 브라운은 현대적이고 독창적인 디자인과 고품질의 소재로 마니아층이 두터운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에서는 2011년부터 삼성물산 패션부문과 독점 판매 계약을 맺고 선보였으나 2023년 7월부터 톰 브라운 코리아를 설립해 한국 시장에 직접 진출했다.

다만 삼성물산 패션부문과 톰 브라운은 리테일 매니지먼트 계약을 통해 협력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애초 광주신세계는 백화점과 연결된 광천터미널 부지 확장을 통한 복합쇼핑몰 건립을 밝히면서 '에루샤(에르메스·루이뷔통·샤넬)' 등 명품 매장 입점을 추진하겠다는 청사진을 제시한 바 있다.

광주신세계가 이처럼 명품 매장에 공을 들이고 있는 것은 광주신세계와 도보로 20~30분거리에 위치할 더 현대광주의 건립 속도와 무관치 않다는 분석이다.

광주신세계는 현재 본관 옆 유스퀘어문화관을 철거하고 있는데 올해 하반기까지 광주시와 사전협상을 마무리하고 내년 상반기에는 지구단위계획 변경 등 후속 행정절차를 완료한 뒤 2026년 하반기 착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광주 옛 전방·일신 방직 부지에 지어지는 더 현대광주는 오는 10월 착공에 들어갈 예정이며 오는 2027년말 준공, 2028년 상반기에 문을 연다는 계획이다.

현재로서는 광주신세계의 더 그레이트 광주 개점시기가 더 현대광주보다 늦어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이로인해 광주신세계는 복합쇼핑몰 건립이라는 하드웨어쪽보다 명품 입점이라는 소프트웨어쪽으로 전략을 수정한 것으로 보인다.

복합쇼핑몰 건립 시기도 늦어지고 명품 입점도 더 현대광주보다 뒤쳐질 경우 경쟁에서 밀릴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같은 바운더리 내의 명품 매장의 입점은 선발 주자들에게만 주어지는게 유통업계의 특성이다.

지역 관련업계 관계자는 "복합쇼핑몰 건립 속도전에서 밀리는 것은 어쩔수 없더라도 더 현대광주가 명품 매장까지 선점해 버리면 경쟁력이 떨어질 수 밖에 없다"며 "양 유통사의 명품 입점 선점을 위한 경쟁은 앞으로 더욱 뜨거워질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