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엠그로우 디지털 제품 여권 소개 화면/사진=피엠그로우
전기차 배터리 데이터 서비스 전문기업 '피엠그로우(pmgrow)'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주관하고 부산시가 발주한 '배터리 여권 플랫폼 구축 사업'의 수행기관으로 선정됐다.

12일 피엠그로우에 따르면 이번 사업은 유럽연합(EU)이 2027년부터 시행하는 '디지털제품여권(Digital Product Passport, DPP)' 제도 대응을 위한 국내 대표 실증 프로젝트다.


피엠그로우는 이번 실증을 통해 DPP표준화를 촉진하고 국제 표준화 과정에서 주도권을 확보하고 데이터 위·변조를 차단하고 안전한 배터리 여권을 발급하게 된다. 이를 위해 플랫폼에 블록체인 기반 분산신원인증(DID), 검증가능 자격증명(VC), 개인 데이터 저장소(PDS), 고유식별자(UID), 영지식 증명(ZKP) 기술을 적용한다.

DPP는 제품의 전 생애주기 데이터를 기록·검증해 탄소배출량, 원재료 출처, 수리·재사용·재활용 이력 등을 투명하게 공개하는 제도다.

이번 부산 DPP 과제는 전기차 소유자가 본인의 안전과 자산가치를 보장받으면서 안심하고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데 의의가 있다.


이번 사업에는 전기차 제조사, 전기선박 개발사, 금융사, 렌터카 운영사, 중고차 매매업체, 정비업체, 배터리 소재·제조사 등 배터리 전 생애주기를 아우르는 다양한 사업 주체들이 참여한다.

박재홍 피엠그로우 대표는 "이번 배터리 여권 플랫폼 구축 사업을 통해 더욱 투명하고 안전한 데이터 서비스 시장 확대의 계기를 마련할 것"이라며 "공급자와 수요자가 모두 안심할 수 있는 데이터 생태계를 만들고 국제 DPP 규정에 동적 데이터 표준을 반영해 주도권을 확보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