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5일 인천 송도컨벤시아에서 'K바이오, 혁신에 속도를 더한다'를 주제로 바이오 혁신 토론회를 진행했다. 행사에는 식품의약품안전처, 보건복지부, 기획재정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중소벤처기업부 등 관계부처와 삼성바이오로직스, 롯데바이오로직스, SK바이오사이언스 등 국내 주요 기업이 참석했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바이오 의약산업은 최근 경제, 사회, 안보 등 모든 측면에서 주목받는 핵심 분야로 떠오르고 있다. 이번 토론회는 글로벌 바이오 의약 시장에서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해 산·학·연·정 및 투자계가 한자리에 모여 혁신 전략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정부는 K바이오 의약, 글로벌 5대 강국 도약을 비전으로 오는 2030년까지 바이오 의약품 수출 2배 달성, 블록버스터급 신약 3개 창출, 임상시험 3위 달성을 목표로 혁신에 속도를 더할 방침이다.
우선 혁신을 촉진하는 수요자 체감형 규제로 대전환한다. 신기술을 활용한 의약품이 신속히 출시되도록 필요한 규제를 선제 지원하고 바이오시밀러 임상 3상 요건을 완화한다. 허가 심사에 AI를 활용하고 심사 인력을 확충해 심사 기간을 4개월로 단축하겠다는 계획도 세웠다. 허가-급여-평가-약가협상 동시 진행을 오는 2027년까지 제도화해 건강보험 등재 기간을 줄이기도 한다.
기술-인력-자본을 연계해 혁신 성장 가속화를 추진한다. AI 기반 신약 개발, AI·로봇 기반 자동화 실험실, 유전자·세포치료 등 기술개발을 지원해 AI-바이오 의약기술 대전환을 이루겠다는 게 골자다. 한국인 100만명 바이오 빅데이터를 구축하고 통합·공유하는 플랫폼도 고도화한다. 신약 개발 전 주기에 걸쳐 바이오 의약 투자 시장 활성화에 필요한 정부 펀드도 확대한다.
앵커-바이오텍 기업의 동반 성장으로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할 예정이다. 바이오 제조 초격차를 확보하기 위해 인프라 및 금융·세제·인력 등을 지원하고 소부장(소재·부품·장비) 국산화율을 높인다. 오픈 이노베이션을 통해 바이오벤처 원천기술이 완제품까지 이어지도록 성장을 지원한다.
이재명 대통령은 이번 행사에서 "앞으로 민간의 창의와 역동성에 과감한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며 "K바이오 의약산업 대도약 전략을 속도감 있게 추진해 바이오산업을 지속 가능한 미래 핵심 성장 동력 사업으로 성장시키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