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는 이러한 내용을 담은 '2025 경기도 1인가구 통계'를 24일 발표했다.
이 자료는 1인 가구 현황을 인구·가구, 주거, 소득 등 8개 분야로 재분류한 자료다. 통계청에서 발표한 인구주택총조사를 비롯해 여성가족부의 가족실태조사, 경기도의 사회조사 등 총 6개 통계를 기반으로 했다.
경기도의 1인가구 수와 비중은 매년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며 전국 1인가구의 22.1%가 경기도에 거주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해 1인가구 수는 전년(171만) 대비 6만여 가구 증가했으며, 2020년부터 서울시를 넘어서 매년 전국 1위를 기록하고 있다.
시군별로는 수원(10.4%), 성남(7.6%), 고양(7.3%), 화성(7.0%), 용인(6.2%) 등 인구 상위 5개 시에 1인가구가 집중돼 있다. 시군별 전체 가구 대비 1인가구 비율은 가평(39.4%), 연천(38.9%), 동두천(38.0%)이 높았으며, 과천(17.4%), 의왕(23.8%), 남양주(25.8%)는 상대적으로 낮은 비율을 보였다.
또한, 지난해 기준 1인 가구 월평균 가구소득은 100만원 미만이 26.0%를 차지했다, 100만~200만원 19.7%, 200만~300만원 22.3%, 300만~400만원 16.6%, 400만~500만원 7.0%, 500만원 이상은 8.6% 수준이다. 200만원 미만이 45.7%로 2023년(48.8%) 대비 3.1%p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경기도 전체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300만~400만원 미만 16.6%, 200만~300만원 미만 15.4%, 400만~500만원 미만 12.5% 등 순이었다.
2024년 기준 1인 가구의 주거 면적은 40~60㎡ 이하(36.0%), 20~40㎡(25.5%), 60~85㎡(23.9%)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1인 가구의 66.7%는 60㎡ 이하 주거 면적에 거주했다.
경기도는 도내 1인가구를 위해 '2025년 경기도 1인가구 지원 시행계획'을 수립, 9615억원을 투입해 1인가구 병원 안심동행 사업, 1인가구 지원사업, 1인가구 자유주제 제안사업 등 41개 과제를 추진하고 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