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부의장은 25일 <머니S>와의 서면 인터뷰를 통해 지역경제, 청년 정책, 광역 행정통합, 그리고 정치권의 책무에 대한 구체적인 구상을 밝혔다.
주 부의장은 20년 넘게 지속된 대구의 인구 순유출 현실이 청년 일자리 부족 때문임을 지적하며, 수성알파시티 지역거점 AX(인공지능 대전환) 사업이 돌파구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수성알파시티 지역거점 AX 사업이 정권이 바뀌면서 비관적 전망이 많았지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기획재정부, 대통령실을 수차례 설득해 예비타당성조사 면제를 이끌어냈다"며 "2030년까지 기업 1000개, 일자리 2만개, 매출 9조원을 창출해 대구를 대한민국 대표 인공지능 혁신도시로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특히 일자리뿐 아니라 생활 인프라의 개선도 강조했다. 그는 "아이 키우기 좋은 교육 환경, 청년들이 즐길 수 있는 문화 공간, 빠르게 연결되는 교통망이 갖춰져야 한다"며 "좋은 기업 유치와 정주 여건 개선, 두 축을 강력하게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지역 현안인 대구 도심 전투비행단 이전 문제도 언급했다. 주 부의장은 "60여 년간 시민들은 소음과 안전문제로 고통받아왔다. 단순한 지역 문제가 아니라 국가 안보와 직결된 문제"라며 "군 공항 이전 특별법을 개정해 국방부를 사업 주체로 명시하고 국가 재정을 투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육군 기지는 1조원이면 이전이 가능하지만 전투비행단은 20조원 이상이 필요하다"며 "국방부가 책임을 회피하는 것은 명백한 직무유기"라고 꼬집었다.
대구·경북 행정통합에 대해서는 "단순히 조직을 합치는 것이 아니라 중복 투자를 막고 단일 경제권으로 투자 경쟁력을 극대화하는 과정"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신공항 물류단지 및 배후 산업단지를 경북에, 대구의 R&D 및 상업 기능을 연계하면 광역적 도시계획이 가능하며, 시민들은 광역 교통 편의, 통합 대중교통, 신속한 민원 해결을 체감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정치 현안에 대해서는 직설적인 비판을 내놓았다. 주 부의장은 현 국회를 한 단어로 '4류'일 수밖에 없다며 "정파적 다툼 속에 민생과 개혁은 뒷전으로 밀려나 있다"고 지적했다.
이재명 정부를 향해서는 "출범 100일이 넘었지만 비전을 제시하지 못한 채 불투명한 정책 추진과 사건·사고로 국민 불안만 키우고 있다"며 "경제 위기, 저출산·고령화, 산업 전환 같은 구조적 문제는 방치되고 보여주기식 단기 처방만 난무한다"고 비판했다.
그는 "대구와 수성구 발전을 위한 약속을 반드시 매듭짓겠다"며 "정치가 바로 서야 민생이 살아나고 지역이 발전한다. 성과로 보답하겠다"고 다짐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