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그룹은 2021년 ESG 경영을 선포한 이후 환경·사회·지배구조 분야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를 하고 있다. 사진은 석촌호수 수질 개선 작업하는 모습. /사진=롯데지주
롯데그룹이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행하고 기후변화 대응 및 안전하고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노력을 소개했다.

롯데그룹은 2021년 ESG 경영을 선포한 이후 환경·사회·지배구조 분야에 대한 관리를 체계화했다고 26일 밝혔다. 롯데는 ESG 가치를 경영 전반에 내재화하고 지속 가능한 관점에서 사업을 운영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롯데는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2050년까지 탄소중립 달성을 목표로 한다. 2022년 '탄소중립 로드맵 1.0' 수립 후, 2024년에는 이를 '탄소중립 로드맵 2.0'으로 고도화했다.

'탄소중립 로드맵 2.0'은 2018년 대비 국내 사업장 탄소 배출량을 2030년까지 22%, 2040년까지 61% 감축하는 계획을 담고 있다. 그룹은 에너지 효율 개선, 탄소 포집, 재생에너지 등 6대 탄소 저감 활동을 선정하고 계열사별로 추진 중이며, '친환경추진단'을 통해 이행 실적을 평가하고 있다.

롯데건설은 이산화탄소 반응경화 기술을 개발했다. 이 기술은 일반 시멘트 대비 약 200도 낮은 온도로 시멘트 제조가 가능하며, 석회석 사용량을 30% 절감한다. 이 외에도 수도권·영남·호남 3개 권역에 안전지원센터를 설치해 현장 안전점검 효율을 높이고 있다.
롯데칠성음료는 2030년까지 플라스틱 사용량을 20% 줄이는 '2030 플라스틱 감축 로드맵'을 수립했다. 포장재 경량화 및 재생원료 확대를 추진 중이며, 음료 및 주류 11개 공장 모니터링을 정례화하고 '저탄소제품' 도입을 확대할 방침이다.


롯데는 자원순환 활동의 일환으로 봉사활동을 전개했다. 지난 1월 롯데지주 대학생 봉사단 '밸유 for ESG 봉사단' 17명은 롯데케미칼 의왕사업장 쇼룸을 방문하여 장난감 업사이클링 봉사활동을 진행했다. 업사이클링 장난감은 의왕시 소재 기관 아동들에게 전달됐다.

2021년 8월부터 석촌호수 수질 개선 사업을 진행 중이다. 사업 시작 당시 수심 0.6m까지만 보이던 석촌호수는 관리 이후 최대 2m 이상까지 시야가 확보됐으며, 지난해 수질환경기준 대부분의 항목에서 1등급 판정을 받았다.

롯데물산은 2022년부터 매년 여름 맑아진 석촌호수에서 '롯데 아쿠아슬론'을 개최하고 있다. 이 대회는 석촌호수를 두바퀴 수영한 뒤 롯데월드타워 1층부터 123층까지 계단을 오르는 철인 2종 대회로, 최근 3년간 2000여명이 참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