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경기도에 따르면 노조 측은 공공관리제는 통상임금을 포함한 서울시 수준의 임금 인상을 요구하고 있다. 민영제는 탄력근로제 연장 반대와 1일 2교대제 전환, 공공관리제와 임금 격차 해소를 위한 임금 인상을 주장한다. 하지만, 회사 측은 수용이 어렵다는 입장이다.
노조는 오는 30일 경기지방노동위원회 최종 조정회의까지 결렬되면 시내·외 버스 50개 업체 소속 조합원들을 대상으로 다음날 첫차부터 전면 파업에 들어간다고 예고했다. 경기도는 전체 시내·외 버스 1만575대 중 8437대인 80%가 파업에 참여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도는 파업 현실화에 대비해 시군과 경기도버스운송사업조합 등 관계기관과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비상수송대책본부를 구성해 24시간 비상근무 체계를 가동할 예정이다. 파업 시 시군과 버스 이용 수요가 많은 지하철역 등 주요 지역 234곳을 주요 탑승 거점으로 지정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전세·관용버스 381대를 투입해 대체교통수단으로 거점을 연결한다. 마을버스와 수도권 전철과 경전철 운행 시간도 연장할 계획이다. 비파업 시내버스 노선을 활용하고 택시는집중 배차할 계획이다.
김광덕 경기도 교통국장은 "노·사간 중재를 통해 원만한 합의를 통해 파업이 실행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