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뉴시스에 따르면 명품 시계·귀금속 대표주자인 까르띠에는 지난달 10일 일부 주얼리 제품 가격을 2~4%정도 인상했다. 지난 2월과 5월에 이은 인상이다.
롤렉스 역시 지난 7월1일 국내 판매 제품 가격을 올렸다. 당시 롤렉스 랜드드웰러 오이스터스틸·화이트골드 40㎜제품은 2213만원에서 2368만원으로 약 7% 올랐다. 롤렉스는 올해 첫날에도 국내 가격을 올린 바 있다. 지난 4월 가격을 올린 오메가는 다음달에도 평균 5% 인상을 계획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에서는 긴 명절 연휴를 앞두고 선물 수요가 증가하자 가격이 들썩이는 것으로 분석한다. 디올은 지난달 24일 일부 가방·주얼리·의류 품목을 중심으로 국내 판매 제품 가격을 평균 3% 인상했다. 가방 카테고리에서는 뚜즈흐 미디엄 백이 53만~55만원으로 3.8% 올랐다. 주얼리에서는 쁘띠(Petit) CD 럭키 스타 귀걸이가 59만~61만원으로 약 3.4% 올랐다.
명품 만년필 브랜드로 알려진 몽블랑은 지난 1일부터 만년필·가방 등 잡화 제품 면세 가격을 평균 5% 인상했다. 대표적으로 몽블랑 마이스터스튁 오리진 컬렉션 두에 클래식 만년필은 약 232만~ 246만원으로 6%정도 올랐다. 가방 품목에서는 몽블랑 사토리얼 라지 도큐먼트 케이스 가격이 약 244만~254만원으로 약 5% 인상됐다.
추석을 앞두고 선물 수요가 늘어나자 명절 기프트 형식으로 한정 프로모션을 전개하는 브랜드도 이어진다. 대표적으로 루이비통모에헤네시(LVMH) 산하 루이비통·크리스챤 디올·불가리 등 명품 브랜드가 이례적으로 선물 마케팅에 나섰다. 이탈리아 주얼리 브랜드 불가리도 최근 공식 온라인몰에서 보자기 포장과 노리개 장식을 포함한 스페셜 패키지를 제공하는 프로모션을 전개했다.
최근 신품 가격 인상이 잇따르자 중고 명품 시장도 활황을 맞고 있는 분위기다. 새 제품에 준하는 중고 명품인 민트급 선호도가 높아지는 점이 특징이다. 아시아 최대 규모로 민트급을 판매하는 캉카스백화점은 이번 황금연휴 기간 대부분 문을 열어 고객을 맞는다는 계획이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