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 가능한 성장 연구에 기여한 조엘 모키어 교수와 필립 아기옹 교수, 피터 하윗 교수가 노벨경제학상을 수상했다 사진은 13일(현지시각) 스웨덴 스톡홀롬 왕립과학원이 노벨경제학상 수상자를 발표하는 모습. /사진=로이터
지속가능한 성장 연구에 기여한 경제학자 3인이 노벨경제학상을 수상했다.

스웨덴 왕립과학원은 13일(현지시각) 조엘 모키어 미국 노스웨스턴대학 교수와 필리프 아기옹 프랑스 인시아드 및 영국 런던 정치경제대학교 교수, 피터 하윗 미국 브라운대학 교수를 노벨경제학상 수상자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과학원은 "세 수상자는 혁신이 어떻게 지속적 경제 성장을 끌어냈는지 설명했다"며 "최근 2세기 동안 세계는 역사상 처음으로 지속적 경제 성장을 이루었다. 올해 노벨경제학 수상자인 세 사람은 혁신이 어떻게 더 큰 발전의 원동력이 되는지 설명했다"고 선정 이유를 밝혔다.

모키어 교수에 대해선 "역사적 자료를 토대로 지속 가능한 성장의 배경을 파악했다"며 "그는 산업혁명 이후 인류가 처음 지속적 성장을 한 원인을 과학적으로 규명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모키어 교수는 새로운 아이디어와 변화를 수용하는 사회적 개방성이 성장의 중요성을 강조했다"고 덧붙였다.

아기옹 교수와 하윗 교수에 대해선 "지속 가능한 성장의 메커니즘을 연구했다"며 "그들은 '창조적 파괴'란 개념의 수학적 모형을 제시했다"고 밝혔다. 이어 "이는 신기술이 나오면 기존 제품을 판매하던 기업들이 경쟁에서 도태되는 이유를 규명했다"며 "혁신은 창의적이지만 경쟁에서 밀린 옛 기술은 파괴된다는 이론을 구축했다"고 부연했다.


존 하슬러 노벨경제학상 선정위원장은 "세 수상자는 경제성장이 당연한 것이 아님을 설명했다"며 "우리가 창조적 파괴란 메커니즘을 유지해야만 경제 침체에 빠지지 않을 수 있다"고 발언했다.

올해 노벨상은 이날 경제학상을 끝으로 모든 수상자 발표를 마쳤다. 시상식은 알프레드 노벨의 기일인 12월 10일에 열린다. 물리학·화학·생리의학·문학·경제학상은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평화상은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수여된다.

노벨경제학상 상금은 상금 1100만스웨덴크로나(약 16억5000만원)로 모키어 교수가 절반을 받고 나머지 절반은 아기옹교수와 하윗 교수에게 나눠서 전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