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해시는 18일 "2035년 김해시 공업지역기본계획의 정책 방향을 바탕으로 내년부터 '공업지역 정비구역 지정'과 '정비계획 수립'을 단계적으로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도시 공업지역의 활성화 및 관리에 관한 특별법'에 근거해 진행되며 산업단지를 제외한 용도지역 상 공업지역 10개소(9.0㎢)를 대상으로 한다. 시는 노후도, 미개발지 비율, 교통 접근성, 업종 연계성 등 다양한 요소를 종합 평가해 파급효과가 큰 곳부터 시범 지정한 뒤 순차적으로 정비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정비 유형은 산업정비형, 산업관리형, 산업혁신형 등으로 나뉘며 각 유형에 맞춰 기반시설을 개량하고 업종 재배치를 추진하는 한편 환경관리 기준도 강화한다. 이를 통해 첨단산업 중심의 지속가능한 산업생태계를 조성하고 지역 산업 구조를 고도화한다는 구상이다.
김해시는 내년 상반기 정비구역 지정 및 정비계획 수립 용역에 착수해 기초조사와 유형별 정비방안을 마련한다. 이후 하반기에는 주민 열람, 관계기관 협의, 도시계획위원회 심의 등 행정절차를 거쳐 정비구역을 최종 지정할 예정이다.
제종수 시 도시계획과장은 "이번 정비구역 지정은 공업지역기본계획을 실행에 옮기는 첫 단계"라며 "노후 공업지를 미래 성장산업 중심지로 재편해 지역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고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