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 수상자로 선정된 이창하 교수는 '고원자가 금속 화학종' 원리를 규명했고 오염물질을 표적하는 '타겟형 수처리 기술' 개발 가능성을 연 공로를 인정받았다.
또다른 수상자인 조강우 교수는 극소량 귀금속이 함유된 산화전극으로 폐수를 전기 분해해 수질을 정화하고 수소 발생 효율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시했다.
'두산연강환경학술상'은 1993년부터 2017년까지 두산연강재단이 25년간 해온 환경안전연구비 지원사업 연장선상이다. 2019년부터 시상식이 진행됐고 한국 환경학 발전과 환경분야 종사자들의 연구 의욕을 고취시키기 위한 목적이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