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라비아 사막에 산다고 알려진 불사조(不死鳥, Phobnix)는 평소 자신의 모습을 잘 드러내지 않다 태어난지 5백년이 될 즈음 향내 나는 나무(계수나무)로 애처롭고도 아름다운 노래를 부르며 둥지를 만든다. 재생할 공간을 만드는 것이다.
단어를 그대로 풀이하면 말그대로 죽지 않는 새 이지만 사실은 죽었다가 다시 태어남이 맞는 표현인 것이다.
그리고 불사조의 영어식 표현인 피닉스(Phoenix)의 유래는 그리스어 phoinix와 중세라틴어 phenix인데, 페니키아인(Phoenician)과 어원이 같기 때문에 그들이 사용했던 염료의 색에 비추어 불사조를 보라색이라고 보는 견해도 있다.
또 부활을 상징하는 고대 이집트의 신 벤누(Bennu)가 새의 모양을 한 것때문에 불사조의 유래가 이집트라고 보기도 한다.
그리고 불사조의 영어식 표현인 피닉스(Phoenix)의 유래는 그리스어 phoinix와 중세라틴어 phenix인데, 페니키아인(Phoenician)과 어원이 같기 때문에 그들이 사용했던 염료의 색에 비추어 불사조를 보라색이라고 보는 견해도 있다.
또 부활을 상징하는 고대 이집트의 신 벤누(Bennu)가 새의 모양을 한 것때문에 불사조의 유래가 이집트라고 보기도 한다.
한편, 불사조의 유래가 아라비아 사막인데 반해 불새(Firebird)는 슬라브족의 민담에서 유래했는데, 보통 잡은 사람에게 행운을 가져다주는 존재로 그려진다.
또 서양의 불사조와 불새에 비견되는 것이 동양에는 봉황과 주작이 있다. 특히 봉황은 임금을 상징하는데 현재 대한민국 대통령을 상징하는 동물도 봉황이다.
불사조의 유래를 보면 불새와 봉황, 주작과는 분명 달라야하지만 이 개념들을 한데 묶은 작품도 있다. 바로 일본만화의 아버지, 데즈카 오사무의 불새(火の鳥)가 그렇다.
불사조의 유래가 재생이라는 점에 착안, 불새의 피를 마시면 영원한 삶을 얻게된다는 점을 통해 불교의 윤회사상을 작품전반에 깔면서 그리고 죽지 않는 삶은 행복한 것이 아니라 저주일수도 있음을 보여준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