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국내 통신시장 1위를 점유하고 있는 SKT가 ADT캡스 인수를 검토하고 있는 상태. 포화된 통신시장에서 지속 성장을 위한 신사업이 절실한 SKT로서는 ADT캡스라는 알짜 매물을 그냥 지나칠 수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국내 무인보안시장 2위 ADT캡스는 매년 10% 이상의 영업이익률을 기록하고 있으며, 1000억원 이상의 현금을 보유하고 있다. 2012년 회계연도 매출은 4445억원, 영업이익은 760억원, 당기순이익은 584억원.
SKT 왜 주목받나
재매각이 목표인 펀드가 아니라 국내 통신기업이 인수자가 되면 국내 보안시장의 판도가 바뀔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타 통신사들이 인수전에 적극 참여할 만한 상황이 아니어서 SKT에 시선이 집중되고 있다.
국내 무인보안시장은 에스원(삼성계열)이 49.3%, ADT캡스가 21.3%, KT텔레캅(KT계열)이 14.5%(2012년 기준)를 점유하고 있다.
KT텔레캅의 경우 ADT캡스 인수 시 업계 1위를 쫓는 2인자가 될 수 있지만 신임 회장 선임 작업으로 정신 없는 상황이라 적극적으로 움직이기 어렵고, LG유플러스는 광대역 주파수 투자비 부담 때문에 여력이 없을 것이라는 게 업계의 전언이다.
이러한 가운데 SKT가 최근 “ADT캡스 인수를 검토 중”이라고 밝히면서 이 회사의 이후 행보에 관심이 집중되는 모습이다.
조 단위 비용 쓸 만한가? 반응은 ‘극과 극’
이러한 가운데 SKT가 최근 “ADT캡스 인수를 검토 중”이라고 밝히면서 이 회사의 이후 행보에 관심이 집중되는 모습이다.
조 단위 비용 쓸 만한가? 반응은 ‘극과 극’
업계는 ADT캡스 인수합병(M&A) 비용으로 1조~2조원을 예상하고 있다. 때문에 SKT는 거액을 쓸 만큼 시너지가 날 것인지를 집중 검토할 것으로 보인다.
양사 간 시너지에 대한 업계의 예상은 극과 극이다. 확실한 시너지가 있을 것이라는 의견과 그렇지 않을 것이라는 주장이다.
긍정적인 전망은 보안시장에서 모바일이 트렌드로 부상한 데에서 기인한다. 업계 한 관계자는 “가입자가 많은 SKT가 스마트폰을 통한 보안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을 가진 업체를 인수하면 스마트 홈(가정) 보안분야에서 시너지를 낼 것”이라고 내다봤다. ADT캡스는 그간 스마트 홈보안에 주력해 왔으며 스마트폰·인터넷을 통한 원격 보안·에너지 관리솔루션('ADT캄')도 보유하고 있다.
그는 또한 “집안 보안을 위해 돈을 쓰겠다는 이들이 많지 않을 정도로 아직 국내 홈보안시장이 제대로 형성돼 있지 않아 스마트 홈보안시장에서도 큰 효과는 없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보안시장 1위 업체인 에스원은 SKT의 ADT캡스 인수 검토 소식에 "에스원이 영향받을 건 없고, 오히려 시장의 파이가 커져 자사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는 반응을 보였다.
☞ 본 기사는 <머니위크>(www.moneyweek.co.kr) 제308호에 실린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