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내 몸의 효소환’, ‘자연미인 진분만’, ‘발효효소의 비밀’, ‘효소력’ 등 4개 효소식품의 ‘α-아밀라아제’ 함량은 0.2~41.9U/g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U/g’는 30분 동안 10㎎의 전분을 소화시키는 효소의 양이다. 조사 대상 중 ‘α-아밀라아제’가 가장 많이 들어 있는 제품은 ‘노봉수 교수의 하루참 효소’로 3만5112.8U/g이 함유된 것으로 조사됐다.
하정철 한국소비자원 식의약안전팀장은 “효소 함량이 매우 낮아 소비자들이 기대하는 효과를 얻기 어려울 것”이라며 “일정 함량 이상 효소가 포함되도록 기준을 개선해야 한다”고 말했다.
효소식품 표방제품 11개의 평균 α-아밀라아제 함량은 1.3U/g인 것으로 파악됐다. 이 중 액상형 제품 9종의 당 함량은 100g당 평균 39.3g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됐다. 사이다와 콜라 등 탄산음료(9.1g)의 약 4배 수준이다.
곰팡이 독소시험에서는 분말형 제품 14종에서 ‘아플라톡신’, ‘오클라톡신A’, ‘제랄레논’이 검출됐다. 현재 효소식품의 곰팡이 독소에 대한 개별 기준은 없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