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에서는 이미 보편화된 동거문화. 그런데 우리나라의 미혼남성은 3명 중 2명꼴이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반면, 여성은 10명 중 8명 가까이가 부정적인 견해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결혼정보회사 비에나래(대표 손 동규)는 3일 이와 같은 내용을 담은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 조사는 결혼정보업체 온리-유와 공동으로 지난달 27일부터 이달 2일 사이 전국의 결혼희망 미혼 남녀 528명(남녀 각 264명)을 대상으로 전자메일과 인터넷을 통해 ‘ 프랑스에는 정식 결혼 대신 동거가 보편화 돼 있는데 이런 문화에 대해 어떻게 생각합니까?’에 대한 제목으로 진행되었다.

질문에 대해 ‘매우 긍정적’(남 28.8%, 여 0%)이나 ‘다소 긍정적’(남 37.5%, 여 20.4%) 등과 같이 긍정적으로 답한 비중은 남성은 66.3%인데 반해 여성은 20.4%에 그쳤다.

반대로 ‘다소 부정적’(남 31.1%, 여 48.5%) 및 ‘매우 부정적’(남 2.6%, 여 31.1%) 등과 같이 동거문화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밝힌 비중은 남성이 33.7%인데 반해 여성은 79.6%에 달해 여성이 월등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남녀별 응답순위를 보면 남성은 다소 긍정적-다소 부정적-매우 긍정적-매우 부정적 등의 순이나, 여성은 다소 부정적-매우 부정적-다소 긍정적-매우 긍정적 등의 순서를 보여 남녀 간에 큰 차이를 보였다.

손동규 비에나래 대표는 ““최근 우리나라에도 이혼이 증가함은 물론 결혼이 필수가 아닌 선택으로 바뀌는 추세를 보이면서 특히 변화를 즐기는 남성들이 프랑스와 같은 동거문화에 야릇한 향수를 갖는 경우가 많다”고 설명했다.

▶‘백년해로는 무리'

‘동거문화에 긍정적인 입장일 경우 그 이유’에 대해서는 남녀 불문하고 응답자 10명 중 4명 이상이 ‘한 남자(여자)와 백년해로하는 것은 무리여서’(남 41.9%, 여 46.4%)로 답해 가장 많았고, ‘헤어져도 색안경 끼고 보지 않아’(남 29.3%, 여 36.0%)가 그 다음이었다.

기타 의견으로는 남성의 경우 ‘재산분배 등의 부담이 없어서’(19.4%)가 ‘결혼에 준한 사회보장 제도 혜택을 받아서’(9.4%)를 앞섰으나, 여성은 반대로 ‘결혼에 준한 사회보장 제도 혜택을 받아서’(17.6%)가 단 한명의 지지자도 없는 ‘재산분배 등의 부담이 없어서’(0%)를 크게 앞섰다.

▶佛 동거문화 싫은 이유 ‘책임감 없어서’

‘동거 문화에 부정적인 입장일 경우 그 이유’에 대해서도 남녀 간에 비슷한 반응을 보였다. 즉 ‘책임감이 없어서’(남 41.2%, 여 34.9%)와 ‘자녀들이 상처를 받게 되어’(남 29.4%, 여 24.1%) 등을 나란히 1, 2위로 꼽았다.

그 외 ‘안정감이 부족하여’(남 10.0%, 여 27.4%)와 ‘부부라는 공동체의식이 결여되어’(남 19.4%, 여 13.6%) 등이 뒤를 이었다.

조미현 온리-유 커플매니저는 “프랑스에는 PACS(Pacte Civil de Solidarite : 시민연대 협약)에 의거 동거부부에게도 법적 지위를 부여하여 각종 법률이나 사회보장 측면에서 불이익을 당하지 않도록 제도적으로 보장돼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동거커플 중 한명 이상이 헤어지자고 하면 복잡한 절차없이 쉽게 갈라설 수 있기 때문에 서로 상대에 대한 책임감이 떨어질 수 있다는 단점도 있다”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