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초 국민적 공분을 샀던 ‘매교역 할머니’ 이야기. 쓰러져 가는 집에 지지대를 세워놓고 거주하던 81세 노인에게 나가 살라던 사건이 일어난 곳. 주민 편의와 지역경제 발전을 위해 한국철도시설공단이 추진한 오리-수원 간 복선전철 매교역 출입구 공사는 지역민들에게 씻을 수 없는 상처로 돌아왔다. 부도난 시공사 선정으로 시작된 이 사업은 부실공사로 인한 지반침체와 주택붕괴, 그리고 지역경제 파괴라는 병폐를 낳고 있다. 지역민들은 매교역 주변을 걸을 때면 행여 넘어질까 땅바닥을 보며 다녀야 하고, 인근 자영업자들은 한숨을 푹푹 내쉬고 있다. 어쩌다 이 지경까지 왔을까. 취재 결과 매교역 공사는 첫삽부터가 잘못 뜬 것이었다. 매교역 부실공사의 문제점과 그것이 불러온 지역 및 주민 피해 현장을 <머니위크>가 낱낱이 짚어봤다.<편집자주>
<글 싣는 순서>
①'부실 삽질'에 무너진 자영업자의 삶
②지역경제 죽인 매교역 공사
③부실공사가 남긴 지반침체, 쓰러지는 매교역 주변

철도시설 국책사업을 담당하고 있는 대표 공기관 한국철도시설공단이 밥값 1억800만원이 없어 식대를 지급하지 못하는 웃지 못할 일이 벌어졌다. 지난해 11월30일 개통한 오리-수원 간 복선전철 사업 구간인 매교역 출입구 공사의 인부 식대와 관련한 철도시설공단의 이번 '유전취식'(有錢取食) 사건은 매교역 인근의 조그마한 식당을 운영하던 부부의 삶을 송두리째 앗아갔다.

 

◆ “제발 밥값 좀 주세요”… 식당 부부의 ‘한숨’


지난 2일 찾은 수원시 팔달구 매교동에 위치한 매교역. 유동인구가 많은 오후 1시 지하철 역 주변임에도 불구하고 이곳엔 적막이 흘렀다.

이곳을 지나는 사람들은 저마다 땅을 내려다보며 걷고 있었고, 인근 주민들의 표정은 어두웠다. 아무 가게나 찾아 들어가 ‘매교역 할머니’ 사건과 함께 이곳 분위기를 물으면 다들 한숨부터 내쉬었다. 이곳 주민들에게 매교역은 주민들의 발이 돼주는 교통시설이 아닌 골칫덩어리 자체였다.

이곳저곳 취재를 하던 기자에게 한 주민이 “너무 안 된 부부가 있다”며 “도와 달라”는 요청을 했다. 그가 안내한 곳은 인근에 위치한 30평 남짓한 식당. 사정을 묻는 기자에게 식당 주인은 잠시 주저하는 듯싶더니 이내 말문을 열었다. “어디 가서 말도 못하고 답답합니다. 어떻게 이럴 수가 있나요.”


그는 이내 담배를 꺼내 물며 잠시 생각을 하고는 말문을 이어갔다. “지난해 9월부터 올 1월까지 하루도 안 쉬고 50여명에 달하는 인부들에게 밥을 해줬습니다. 시공사 책임자가 찾아와 제안을 했고 사업이 끝나는 대로 사업시행자인 철도시설공단에서 대금을 받아 밥값을 지급하기로 했습니다. 그런데 지금까지 한 푼도 못 받았습니다. 이번 공사기간 동안의 밥값 8300만원과, 지난 2012년 공사 당시 미지급된 식대 2500만원을요.”

이야기를 듣자하니 이해가 잘 안됐다. 조그마한 식당에 1억원이 넘는 큰돈을 지급하지 않는 황당한 건설사 이야기도 그랬지만, 왜 중간 결산을 하지 않았는지에 대한 의문이 들었다. 이를 묻는 중간에 식당 주인의 부인이 나와 인사하며 설명을 했다.

“중간에 건설사 책임자랑 철도시설공단 담당자가 와서 공사를 마치는 대로 공단 측에서 식대를 지급할 것을 약속했습니다. 공단 측에서 건설사가 어렵기 때문에 공사대금을 건설사에 주는 대신 자신들이 직접 처리를 하게 될 것이라고 이야기를 했고요.”

이러한 이야기를 하는 중간에 식당 안주인은 억울함을 토로했다. “우리가 밤잠을 설쳐가며 새벽 4시에 나와 인부들 식사를 챙겨주고, 행여라도 식사가 부실하다는 얘기라도 들을까봐 여기저기서 빚까지 내며 정성들여 식사를 준비했는데 어떻게 저희한테 이럴 수 있나요. 가게 월세도 못 내고 빚 독촉에 시달리고, 이제는 몸도 마음도 지쳤습니다.”

부부는 그동안 받지 못한 식대의 세금계산서를 보여주며, 부탁을 했다. “제발 어떻게 좀 도와주세요. 얼마 전에도 공단 측 바뀐 책임자가 와서 4월11일까지만 기다려 달라고 했는데 이제는 못 믿겠습니다. 그동안 매번 기다리라는 말만 하지 10원짜리 하나 구경을 못했습니다.”

취재를 마치고 일어서는 기자에게 그들은 “제발 도와달라. 공단 측 상황이 어떻게 돌아가는 건지 좀 알아봐 달라”며 연거푸 하소연했다.

◆ “주고 싶은데 돈이 없습니다”

취재를 마친 뒤 곧바로 철도시설공단 측의 입장과 답변, 그리고 현재의 상황과 대책을 듣기 위해 연락을 취했다. 담당부서인 수도권사업본부 현장 책임자와 전화연결을 통해 입장을 들을 수 있었다. 하지만 결과는 탐탁지 않았다.

우선 어떻게 해서 건설사의 식대를 사업시행자인 철도시설공단에서 지급하기로 한 것인지를 물었다. 수도권사업본부 현장 책임자는 “시공사가 파산절차에 들어가 시공사의 부채를 우리가 떠앉기로 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7억원이 넘는 공사대금 미지급 부분은 건설사에 가압류가 걸려있어, 지급하지 않는 조건으로 우리가 부실채권을 떠안은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7억원의 공사대금을 갖고 있으면 지급을 해주면 되지 않냐고 되물었다. 하지만 그는 “이미 다른 미지급 채권들에 대해 처리를 하고 난 후라 남아있는 대금이 없다”며 “서울보증재단에 공사이행 보증을 신청해 놨기 때문에 남아있는 공사의 사업자가 선정되는대로 선정된 건설사에서 지급을 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철도시설공단 측의 답변처럼 대금결제가 이뤄지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이미 사업자를 선정하기 위해 두차례에 걸쳐 입찰을 했지만 두차례 모두 단독 입찰에 응했던 현대건설과 서울보증재단 사이의 금액차이가 심해 결국 선정되지 못했다. 현재 서울보증재단 측은 약 55억원에 입찰을 붙인 상태인 반면 현대건설 측은 미지급된 채권들을 포함해 최소 150억원은 받아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와 관련해 식당부부와 오는 11일 약속한 식대 지불이 가능한지에 대해 다시 철도시설공단 측에 물었다. 철도공단 측은 “11일 입찰이 있기 때문에 가능할 것”이라며 “이번에는 대우건설과 울트라건설 측에도 입찰 참여를 요청했기 때문에 선정될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했다.

공단 측의 말처럼 시공사가 선정된다면 다행이지만 만약 또 유찰된다면 어떻게 될까. 먼저 철도시설공단 측에서 지급해주고 나중에 사업자가 선정되면 그때 메우면 되지 않을까. 이에 대해 철도시설공단 측은 “우리도 안타깝지만 법과 규정이 있어 불가능하다”는 답변이 돌아왔다.

 

☞ 본 기사는 <머니위크>(www.moneyweek.co.kr) 제326호에 실린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