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삼성그룹 황태자’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삼성생명과 삼성화재 지분인수를 추진하기로 하면서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일각에서는 삼성생명과 삼성화재 등 주요 금융계열사의 지배권 강화와 중간금융지주사가 탄생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28일 금융당국과 관련업계 등에 따르면 삼성 측은 금융감독당국에 이 부회장의 삼성생명과 삼성화재 지분인수와 관련한 법적 검토를 요청했다.
이 부회장은 현재 삼성생명과 삼성화재의 지분을 보유하지 않고 있다. 이 부회장은 1% 미만의 소수지분 인수를 추진하고 있다.
개인이 상장사의 지분을 인수하는 것은 자유이지만 이 부회장은 삼성생명의 최대주주인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과 특수관계다. 이에 따라 당국에 법적 검토를 요청한 것으로 보여진다.
올해 6월말 기준 삼성생명의 최대주주는 이건희 회장으로 지분율은 20.76%이다. 뒤를 이어 삼성에버랜드(현 제일모직)가 19.34%로 2대 주주이며 삼성문화재단 4.68%, 삼성생명공익재단 2.1% 등이다.
삼성화재의 최대주주는 삼성생명으로 14.98%를 보유하고 있으며 삼성문화재단 3.06%, 삼성복지재단 0.36% 등이다. 이건희 회장은 삼성생명을 통해 삼성화재까지 지배하고 있는 구조를 보이고 있다.
올해 6월말 기준 삼성생명의 최대주주는 이건희 회장으로 지분율은 20.76%이다. 뒤를 이어 삼성에버랜드(현 제일모직)가 19.34%로 2대 주주이며 삼성문화재단 4.68%, 삼성생명공익재단 2.1% 등이다.
삼성화재의 최대주주는 삼성생명으로 14.98%를 보유하고 있으며 삼성문화재단 3.06%, 삼성복지재단 0.36% 등이다. 이건희 회장은 삼성생명을 통해 삼성화재까지 지배하고 있는 구조를 보이고 있다.
이 부회장은 아버지인 이 회장의 지분 상속과 함께 개인지분을 늘려야 핵심 금융계열사인 삼성생명과 삼성화재에 대한 지배권 확보가 가능하다.
관련업계에서는 또 이 부회장의 삼성생명, 삼성화재 지분 인수 추진과 함께 삼성생명을 정점으로 한 중간 금융지주사 탄생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관련업계에서는 또 이 부회장의 삼성생명, 삼성화재 지분 인수 추진과 함께 삼성생명을 정점으로 한 중간 금융지주사 탄생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지난 6월 삼성생명은 보유하고 있던 삼성물산 주식을 삼성화재 자사주와 맞교환했다. 삼성물산 지분 4.79%를 주는 대신 삼성화재 자사주 4%를 받았다.
앞서 삼성전기, 삼성물산, 삼성중공업 등이 보유하고 있던 삼성카드 지분 6.29%를 매입했다. 또한 삼성카드가 보유중인 삼성화재 지분 6.29%를 사들였다.
이를 두고 증권가에서는 삼성생명을 정점으로 한 중간금융지주사 전환 작업이 시작됐다는 분석이 나왔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 “삼성의 3세 경영권 승계 과정에서 금융계열사는 이재용 부회장에게 돌아갈 가능성이 높다”며 “이재용 부회장 입장에서 중간금융지주사 전환과 삼성생명, 삼성화재에 대한 지분율을 높이면 다른 금융계열사까지 지배할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