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사진=머니투데이 DB
뉴욕증시가 주택지표 호조에도 중국증시 급락과 월마트 등 기업들의 실적부진에 일제히 하락했다.18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 스탠다드앤푸어스(S&P)500지수는 전날보다 5.52포인트(0.26%) 하락한 2096.92를 기록했다.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는 33.84포인트(0.19%) 내린 1만7511.34로 마감했다. 나스닥종합지수 역시 32.35포인트(0.64%) 떨어진 5059.35로 거래를 마쳤다.
이날 뉴욕증시는 앞서 마감한 중국증시의 폭락 소식에 하락세로 출발했다. 중국증시는 정부의 유동성 공급 조치에도 불구하고 증시 부양책이 지속되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에 폭락했다.
전날 상하이종합지수는 전날보다 6.15% 하락한 3748.16으로 거래를 마쳤다. 선전종합지수는 6.58% 내린 2174.42로 마감했다. 지난달 27일 8.5% 폭락 이후 최대 낙폭이다.
중국증시 급락은 경기 둔화에 대한 우려로 확산되며 상품시장에 직격탄을 날렸다. 뉴욕상품거래소에서 국제 구리 가격은 전날보다 파운드당 3.4센트(1.5%) 하락한 2.287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2009년 7월 이후 최저 수준이다.
국제 금값도 약세를 나타냈다. 주택지표 호조로 달러가 강세를 보인데다 다른 상품 가격 하락도 영향을 미쳤다. 이날 뉴욕상품거래소에서 국제 금 가격은 전날보다 온스당 1.5달러(0.1%) 하락한 1116.90달러를 기록했다.
다만 이날 발표된 미국의 주택지표는 호조를 보였다. 미국 상무부는 미국의 지난달 주택착공건수가 전월 대비 0.2% 증가한 120만6000건(계절조정치·연율)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전문가들의 예상치(0.5% 증가)에는 다소 못 미치는 것이지만 2007년 10월 이후 최대치다.
전문가들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연준)가 이르면 오는 9월 기준금리 인상에 착수하더라도 주택시장 반등의 기세는 멈추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한편 통화에 대한 달러 가치를 보여주는 달러인덱스는 전날보다 0.21% 상승한 97.02를 기록하고 있다. 주택지표 호조로 9월 금리인상 가능성이 커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