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스바겐'
폭스바겐그룹이 미국에서 배출가스 조작 혐의로 약 50만대의 리콜을 명령받은 사실이 드러났다.
미국 환경보호청(EPA)은 폭스바겐과 아우디 디젤승용차가 검사를 받을 때는 배출가스 저감장치를 정상적으로 작동하도록 하고, 실제 도로주행 때는 꺼지도록 했다고 발표하면서 48만2천대의 디젤 차량에 대한 리콜 명령을 내렸다.
EPA에 따르면 폭스바겐 차량이 실제 주행 때 배출한 산화질소의 양은 차량검사 때보다 최대 약 40배 많았다.
폭스바겐 측은 혐의를 인정하고 마르틴 빈터코른 폭스바겐 최고경영자(CEO)는 "진심으로 죄송하다. 이로 인해 끼친 손해를 복구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조치를 다할 것"이라고 사과했다.
미 폭스바겐에 대한 관심이 국내에서도 이어져 한국 정부도 미국 환경보호청(EPA) 발표 이후 검토 끝에 폭스바겐과 아우디 차량에 대해 검증에 들어가기로 했다.
21일 환경부 관계자는 폭스바겐그룹이 미국 이외의 나라에서도 속임수를 썼는지에 대해 "가능성을 크게 보고 있다"면서 "문제가 된 차종의 배출가스가 어느 정도인지 국내에서도 검사해볼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에 환경부는 10월 중 폭스바겐 골프와 제타, 아우디 A3 등 3개 차종의 배출가스를 검증할 계획이다.
미국 내의 리콜 대상은 모두 48만 2000대로 골프와 제타, 비틀은 2009년형부터 2015년형까지, 파사트는 2014∼2015년형이 해당한다. 아우디 A3는 2009∼2015년형이 대상이다.
이 가운데 국내에는 이들 3개 차종이 판매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지난달까지 골프 789대, 제타 2524대, A3 3074대 등 모두 6387대가 판매됐다.
폭스바겐코리아 측은 "한국은 디젤승용차 배출가스 규제가 유럽 기준과 같아서 한국에 들어오는 디젤승용차의 엔진은 북미로 수출하는 것과 다르다. 미국에서 리콜되는 차량은 국내와 관계없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