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체중 증가는 무릎 관절 건강과 연관성이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퇴행성 관절염의 경우 관절의 과다 사용이 원인이었지만, 최근 과체중, 비만, 잘못된 생활습관 또한 관절의 퇴행을 부추기는 요인으로 꼽히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비만 인구 증가와 맞물려 퇴행성 관절염 환자도 매년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건강보험공단에서 국민건강정보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국내 고도비만율은 2002~2003년 2.63%에서 2012~2013년 4.19%로 크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는데, 무릎 퇴행성관절염 환자 수 또한 2010년 67만1,992명에서 2013년 75만5,606명으로 늘어난 것.
무릎 관절은 걸을 때뿐만 아니라 다리를 굽히고 펴는 운동 역할을 담당하고, 가만히 서 있을 때도 몸의 하중을 받기 때문에 비만에 가장 취약한 부위다. 체중이 증가하게 되면 자연스럽게 무릎 관절에 가해지는 하중은 커지게 된다.
비만뿐만 아니라 지나친 다이어트로 인해 음식물 섭취가 고르지 못할 경우도 관절의 퇴행을 앞당길 수 있다. 단기간 살을 빼기 위해 무작정 굶는 것은 각종 영양분을 감소시켜 골밀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 이런 영양 부족 상태에서 강도 높은 운동을 병행할 경우 관절 건강에는 악영향을 끼칠 수 있어 무작정 굶어서 살을 빼는 것보다는 식사량을 조절하고 꾸준하게 규칙적으로 운동을 하는 것이 관절 건강을 지키는 데 도움이 된다.
라원장은 “관절염을 계속 방치하게 되면 연골이 닳아 없어져 치료를 할 때 어려움을 겪기 때문에 관절에 이상이 느껴지면 병원을 찾아 정확한 원인을 찾고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며 “수영이나, 실내 자전거 타기는 관절을 유연하게 하고 근육의 힘을 키워줄 수 있는 운동으로 꼽히고 체중조절에도 효과를 볼 수 있어 관절에 무리가 가지 않는 선에서 꾸준히 하는 것이 좋고, 젊다고 안심하기보다는 어렸을 때부터 바른 습관을 들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