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최근 5년 동안 불면증으로 진료를 받았던 사람들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여성이 남성보다 1.7배 불면증을 겪는 환자가 많으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불면증 환자 중에서 20~30대의 경우 여성 환자가 남성보다 2.2배나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그 이유는 여성의 호르몬에 의한 경우가 많고, 나이가 듦에 따라 남성보다 현저한 신체적, 정서적 변화에 따른 스트레스가 커 잠 못 이루는 경우가 있다.
여성 불면증은 크게 임신성 불면증과 산후불면증으로 나뉜다. 임신성 불면증은 여성은 생리와 배란, 임신, 출산 등 남성들에게는 없는 신체 변화를 겪게 되는데 이러한 생리나 배란 기간에 평소와 다른 수면리듬을 보여 숙면을 방해한다.
산후 불면증은 출산이 고통스럽고 힘든 과정이었을 경우 신체적으로 극심한 피로를 경험하게 되어 생기는 경우가 있고, 밤중 수유로 인해 수면리듬이 많이 흔들리는 때에 발생한다.
또 아이 양육에 대한 책임감과 염려로 인한 산후 우울증의 증세 중 하나로 불면증이 나타나기도 한다.
불면증은 여성 불면증, 남성 불면증 차이를 떠나 만성적으로 앓고 있다면 다른 질환의 예방과 건강회복을 위해서라도 병원을 찾아 전문의와의 상담이 필요하다.
다른 조사결과에 따르면, 여성들은 생리 기간이나 갱년기에 신체적 변화에 민감해지며 이로 인해 불면증, 하지불안증후군 등의 수면장애를 겪기 쉬워진다.
결국 아침잠이 많아지거나 낮 시간의 졸음들을 유발해 업무의 능률을 떨어뜨리고 신체적 정신적인 피로도를 높이는 원인이 된다.
특히 50대 이상의 여성의 경우에는 활동량이 급속히 줄어 예전보다 잠을 덜 자는 생리적인 현상이 나타난다.
폐경기 여성이 불면증을 호소하는 이유는 에스트로겐이 줄어들기 때문이다. 에스트로겐이 감소되면 불면증 외에도 안면홍조, 화끈거림, 두통, 요통, 관절통, 요실금, 땀분비 증가등이 대표적인 증상이다.
또한 이 시기에 잠을 잘 못자면 또 다른 폐경기 증상인 심혈관질환이나 우울증이 악화될 수 있고 이런 증상은 가정불화에도 큰 영향을 끼친다고 알려져 있다.
/자료사진=이미지투데이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