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건설업계는 불합리한 심사제도와 불공정관행으로 인해 공사비 누수, 부실 시공이 발생하며 국민 안전을 위협한다는 문제가 제기돼왔다.
올해 LH는 '입찰담합 사전징후 감지시스템'을 도입해 부정입찰을 예방할 계획이다. 심사부서와 계약부서에서 담합징후 평가표를 작성해 입찰 참여업체의 경각심을 고취, 담합 가능성을 선제적으로 차단한다는 복안이다.
지난해에는 '공개토론 설계공모 심사제도'와 '심문고'(審聞鼓), '기피신청제도 확대 및 내부심사위원 축소' 제도를 도입했다.
이를 통해 심사위원이 자유토론과 합의를 해 당선작을 결정하도록 하고 심사과정을 생중계하며 업체의 어려움을 찾아내 개선하고 있다.
LH는 입찰 등 심사제도의 투명성을 높이고 발주기관의 우월적 지위를 이용한 불공정특약을 타파해 공정한 건설시장을 만드는데 앞장선다는 계획이다.
천호준 심사제도개선 기술심사단부장은 "공정한 심사제도 정비를 통해 불공정관행을 개선하고 국토교통부, 건설업계와 지속적으로 교류해 실질적인 제도 개선이 이뤄질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