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총부채 비율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200조원을 돌파한 가계부채, GDP를 웃도는 기업부채에 이어 정부부채마저 빠른 증가속도를 보이고 있어 시장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6일 자본시장연구원이 발표한 ‘국내 총부채 현황과 기업부채 수준의 한미일 비교’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GDP 대비 총부채 비율은 2004년 156.5%에서 2015년 3분기 234.7%로 급등했다. 이는 글로벌 평균(224.2%)보다 10.5%p 높은 수준이다.


세부항목을 살펴보면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87.2%로 국제결제은행(BIS)이 집계한 41개국(선진국 22개국, 신흥국 19개국) 중 8위다. 신흥국 중에선 1위.

GDP 대비 기업부채는 106%로 전체 15위이며 신흥국 중에선 홍콩, 중국에 이어 3위다. GDP 대비 정부부채는 41.5%로 5년 전(25.8%)과 비교하면 15.7%p 늘었다.


가계부채, 기업부채, 정부부채 규모 모두 지속적으로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최근에는 정부부채의 빠른 증가율이 두드러진다.

정부부채 증가율은 지난해 3분기 기준 8.1%로 가계부채(3.4%)나 기업부채(0.7%)에 비해 매우 높다. 정부부채 규모 자체는 다른 국가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지 않으나 증가율이 빠르다는 점에서 이미 높은 수준을 기록한 가계부채와 기업부채의 위험이 이전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이에 대해 보고서를 작성한 안유미 연구원은 “부채총량은 지속적으로 증가 중이지만 부채상환능력은 약화 추세를 보이고 있다”며 “부채 증가속도에 대한 모니터링 및 부채구조 개선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요구된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