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15일) 일본 구마모토 현을 강타한 규모 6.5의 강진으로 최소 9명의 사망자가 발생한 가운데 이날 필리핀과 바누아투 등 환태평양 조산대에서 잇따라 강진이 발생하면서 초대형 지진 발생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른바 '불의 고리'로 불리는 환태평양 조산대에서는 지난 14일 밤 구마모토 현 강진이 일어나기 전에도 남태평양 바누아투공화국에서 규모 6.0, 필리핀에서 규모 5.9의 강진이 잇따라 일어나는 등 불과 48시간 사이에 강진이 네 차례나 발생했다.


영국 일간 데일리익스프레스에 따르면 과학자들은 "이 같은 잦은 지진 현상이 이 지역에서 보다 강력한 지진의 전조일 수 있다"고 우려했다. 미국지질조사국(USGS)은 ‘불의 고리’에 속한 바누아투공화국에서는 이번 주 들어서만 네 차례의 지진이 발생했으며 지난주에도 규모의 6.4의 강진이 일어나는 등 최근 들어 지진이 잦아지는 추세라고 분석했다.

오늘(15일) 오전 2시20분(현지시간)에 필리핀 남부 민다나오 섬 해안에서도 규모 5.9의 지진이 발생한 것을 포함해, 최근 석달 반 사이에 아시어 전역에 걸쳐 큰 지진이 9차례나 발생했다. 과학자들은 올해 초부터 남아시아와 태평양에 걸쳐 평년보다 높은 횟수의 지진이 일어난 점을 감안할 때 특히 히말라야 지역에서 지난해 8000명의 사망자를 낸 네팔 강진보다 더 강력한 지진이 올 수 있다고 우려했다.

미국 콜로라도대 지질학자인 로저 빌햄은 "현재 여건상 규모 8.0 이상의 강진이 최소 4차례 발생할 수 있다"면서 "이 같은 지진이 지체된다면 수 세기 동안 가중된 압력 때문에 더 재앙적인 메가톤급 지진을 불러올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일본 역시 지난 2011년 2월 '볼의 고리'에 속한 뉴질랜드 크라이스트처치에서 200명 정도의 사망자를 낸 지진이 발생한 지 17일 만에 규모 9.0의 동일본 대지진을 겪은 경험이 있어 환태평양 조산대의 움직임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크라이스트처치 지진 당시 호주의 지진 전문가 케빈 맥큐 교수는 "지진활동은 예측이 불가능하지만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며 더 큰 지진을 불러올 가능성을 경고했다.


/자료사진=이미지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