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조선업 등 대기업의 구조조정 자구 노력을 강조하며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다. /사진=뉴시스 DB
정부가 기업 구조조정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다. 기업의 자구 노력이 여의치 않을 경우 정부가 직접 개입하겠다는 의지도 피력했다.
25일 정부와 재계에 따르면 정부는 26일 구조조정 업종 대책을 발표하며 자구노력을 하지 않는 대기업은 특별고용지원업종 지정 대상에서 제외키로 했다. 이는 기업 구조조정 속도는 높이되, 이른바 ‘조건 없는 퍼주기’는 없을 것이란 의지로 풀이된다.

유일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최근 한 인터뷰에서 “현재로서는 특정 업종을 지정해 구조조정을 하겠다는 것은 아니다”라며 “채권단 중심으로 정리한다는 대원칙이 원활치 못하면 개입을 할 수도 있다”고 언급한 바 있다.


유 부총리는 지난 24일 주형환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임종룡 금융위원장 등 경제부처 수장들과의 청와대 경제현안회의에서도 이 같은 구조조정 추진 상황과 시장에 끼칠 영향에 대해 논의했다.

특히 이날 정부 관계자들은 극심한 수주 가뭄으로 대규모 인력 구조조정이 우려되는 조선업종에 대해 특별고용지원업종 지정을 우선 검토한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