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인 변재일.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의장으로 임명된 변재일 의원이 오늘(11일) 오후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자료사진=뉴시스
김종인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원회 대표가 오늘(11일) 4선의 변재일 의원을 신임 정책위의장으로 임명한 가운데, 이를 두고 김 대표와 정치적 각을 세워왔던 친노 진영에서는 "일단 두고 보겠다"는 기류가 흐르고 있다. 친노계에서는 일단 변 의장이 4선의 중진인데다, 정책위의장과 민주정책연구원장 등 정책 분야를 두루 역임했다는 점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분위기다.
일각에서는 20대 총선 승리 직후 전당대회 개최 시기를 놓고 김종인 대표와 문재인 전 대표간 신경전이 벌어지면서 당 안팎에서 '친노 패권주의' 논란이 또다시 불거졌던 데 대해 친노계가 이를 의식한 게 아니냐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친노계의 한 재선의원은 "변재일 신임 정책위의장은 당 정책이 급진적으로 가지 않도록 완충역할을 하는 데에는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긍정적인 평을 내놨다. 그러면서도 그는 "'김종인 사람 심기'는 전당대회 시기를 감안하면 겨우 2~3개월 정도밖에 되지 않을 것"이라며 "자신과 비대위원을 경험했던 자기 사람을 '돌려막기'로 인선한 것은 문제"라고 김종인 대표에 대한 경계심을 나타냈다.
친노 진영이 이처럼 김 대표의 정책위의장 인선에 대해선 넘어가는 분위기지만, 당내 또 다른 핵심 요직인 민주정책연구원장 인선을 놓고서는 호락호락 넘어가지 않을 기세다. 민주정책연구원은 내년 대선 전략을 설계하는 주요 기관으로 원장 인선에 따라 당내 대선 판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친노계 재선 의원은 "민주정책연구원장은 예산, 사람, 기획, 여론조사 등 당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요직"이라며 "긴 호흡을 두고 정책을 연구하는 기관이기 때문에 김 대표의 측근이 임명되거나 비주류 진영이 원장을 맡아서는 안 된다"고 잘라 말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