땀띠 예방법. /자료사진=이미지투데이

땀띠는 날씨가 더울 때 피부에 나타나는 붉은색의 작은 발진과 물집으로 더운 날씨에 급증하고 있어 예방에 신경써야 한다. 땀띠는 보통 피부의 표면에 있는 땀구멍이 각질 등으로 막혀서 땀이 각질층 또는 표피층에 고이면서 나타난다. 특히 땀이 많이 흘리는 부위에 소수포·소결절이 잘 생기며 가려움이 생길 수도 있다.


땀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통풍이 잘 되는 시원한 환경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에어컨디셔너와 선풍기를 사용해 땀이 나지 않게 하거나 땀을 증발시켜야 한다. 땀을 흘린 즉시 씻어주는 것도 땀띠를 예방하는 방법이다.


아기의 경우 땀띠가 나기 쉬운 부위에 파우더를 발라주면 좋은데 많이 바르면 오히려 땀관구멍을 막아 역효과를 일으킬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땀이 너무 많이 나는 경우 접히는 부위에 파우더를 바르면 세균 증식의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부위를 잘 고려해서 발라야 한다.


땀띠가 생긴 경우 '붕산아연화 연고'나 '윌슨 연고'를 땀띠가 난 부위에 바르면 치료 효과가 있다. 또한 항생제는 땀띠의 발생을 억제하기 때문에 너무 가려울 때는 항히스타민제를 투여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