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정거래위원회가 18일 SK텔레콤과 CJ헬로비전의 인수합병(M&A)을 불허하는 것으로 최종 결론을 낸 가운데 이해당사자들이 희비가 교차한 입장을 내놨다.

우선 가장 큰 충격을 받은 CJ헬로비전과 SK텔레콤은 유감 표명과 함께 미디어 산업의 미래 경쟁력 확보에 주력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CJ헬로비전은 이날 입장자료를 통해 “이번 M&A 과정이 7개월간 시간을 끈 끝에 결국 무산되며 투자 정체, 영업 위축 및 실적 저하 등으로 큰 위기에 처했다”며 “결과를 존중하지만 현재 케이블TV 산업이 처한 현실과 이로 인한 미디어 산업의 미래를 고려할 때 매우 유감스럽다”고 아쉬움을 전했다.

이어 “내부 안정화를 최우선으로 하는 경영정상화에 집중할 것”이라며 “이후의 대응 방안은 현재 마련 중이며 다각적인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SK텔레콤도 CJ헬로비전과 유사한 반응을 보였다. SK텔레콤은 측은 “미디어·콘텐츠 산업의 질적 성장을 이끌고, 나아가 소비자 후생 증대와 국가 경제발전에 기여하고자 CJ헬로비전과의 M&A를 추진했다”며 “그간 최선을 다해 M&A의 당위성을 강조했으나 결과적으로 불허 결정을 받은 것에 대해 깊은 유감”이라고 소감을 밝혔다.
이어 “글로벌 미디어 기업이 ‘국경 없는 전쟁’을 벌이고 있는 상황에서 국내시장도 새로운 변화와 혁신이 절실히 요구된다”며 “국내 미디어 산업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춰 한단계 더 도약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반면 SK텔레콤과 CJ헬로비전의 M&A를 지속적으로 반대해온 KT와 LG유플러스는 공정위 결정에 환영한다는 입장을 내놨다.   


KT·LG유플러스는 공동입장자료를 통해 “공정위가 SK텔레콤의 CJ헬로비전 M&A를 금지하기로 한 것을 존중한다”며 “공정위의 이번 결정은 양사가 꾸준히 제기한 방송·통신시장의 독과점 심화, 소비자 후생저해 우려 등을 고려한 결정으로 판단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