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해양이 건조한 ‘세계 최초의 천연가스 추진 LNG운반선’의 항해모습 /사진=대우조선해양 제공
대우조선해양의 기술인력 유출이 심각한 것으로 드러나 우리나라 중공업 경쟁력 악화에 대한 우려가 제기됐다.
5일 민병두 의원(더불어민주당·동대문을)은 산업은행으로부터 제출받은 ‘대우조선해양 연도별/조직별 퇴사자 현황’을 분석한 결과 대우조선해양의 부실이 가속화되며 기술인력 유출도 함께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2011년부터 현재까지 대우조선해양의 퇴직자 수는 총 3555명이다. 퇴직한 기술본부 인력은 628명이며 이 중 지난해 이후 퇴사한 기술본부 인력은 328명으로 절반이 넘는다. 부실 문제가 커진 1년 반 사이에 핵심인력이 빠져나간 것.
특히 2015년에는 근속년수가 긴 기술본부 인력의 퇴사자가 늘었는데 이들의 평균 근속년수는 14.4년이었다. 2011년 퇴사자의 평균 근속년수는 6.1년, 2012년 9.2년, 2013년 8.1년, 2014년 7.4년이었다. 부실이 가중되면서 숙련된 기술인력 퇴사가 늘어났다.
생산본부도 퇴사자가 늘었다. 전체 3555명 중 1399명으로 전체의 39%를 차지했다. 이들 퇴직자의 근속연수도 늘어나는 추세다. 2011년 평균 17.4년, 2012년 23.7년, 2013년 13.9년, 2014년 17.8년인데 비해 2015년에는 25.6년, 2016년 24.3년으로 퇴사자의 숙련도가 높았다.
민병두 의원은 “구조조정 과정에서 우수한 기술인력이 해외로 유출되고 우리나라 중공업의 경쟁력 약화로 이어질 수 있다”면서 “정부가 구조조정 과정에서 희생될 노동자들에 대한 재취업 지원 및 모니터링을 강화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하지만 조선업계에선 인력이 무조건 해외로 간다는 점을 경계했다.
이와 관련해 조선업계 관계자는 "엔지니어의 경우 다른 업종으로 갈 수도 있어서 반드시 해외 조선소로 간다고 볼 수 없다"면서 "퇴사자 중 숙련공 비중이 높아지는 것은 조금 더 분석해봐야 할 것"이라 전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