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6일 열린 공공기관 운영위원회에서 한전은 경영실적 평가에서 A등급을 받고 직원들에게 1인당 2000만원이 넘는 성과급을 지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과급 지급 시점은 상당수 가정이 '폭탄 요금 고지서'를 받아든 시기와 겹친다. 국민들은 고지서 속 금액에 절망했고, 한전 직원들은 성과급에 환호했다.
/머니투데이 DB
조환익 한전 사장의 성과급도 논란이다. 조 사장은 지난해 9564만원의 성과급을 챙겼다. 이는 전년(5181만원) 대비 81.4% 급증한 금액. 한전 사장과 직원들이 무더위에 시름하는 국민의 호주머닛돈을 챙겨 자신들의 배를 채웠다는 비난에 설득력이 더해진다.
한전의 법인카드 사용행태도 도마 위에 올랐다. 2016 국정감사에서 밝혀진 바, 한전의 직원 수는 2만380명인데 법인카드는 무려 1만3365장을 발급해 사용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직원은 강남 술집 등에서 수십만원어치의 술값을 결제한 것으로 확인됐다.
전기료 누진제 개선 요구에는 '묵묵부답'이던 한전이 국민들의 '눈먼 돈'으로 화려한 파티를 즐겼다. 우수경영을 펼친 기업이 높은 성과급을 받는 것은 당연하다. 하지만 ‘누진제’라는 불합리한 요금제로 전기료를 긁어모은 한전의 영업이익을 우수경영이 낳은 이윤으로 볼 수 있을까. 조 사장부터 직원들까지 통렬한 반성이 필요한 시점이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