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날 오후 송민순 회고록 관련 진상조사 TF를 구성한 새누리당은 이날 문 전 대표를 향해 날선 비판을 쏟아냈다. 이정현 새누리당 대표는 취재진과 만난 자리에서 “사실이라면 사실상 북한의 인권 탄압에 동조하며 북한과 내통한 것”이라며 “유엔 표결을 하는데 표결의 방향을 인권(탄압) 가해자인 북한 당국과 상의해서 처리했다는 것은 상상이 되지 않는 일”이리고 비판했다.
박명재 새누리당 사무총장은 “종북을 넘어 종복(從僕)이다”라고 비난했다.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전 대표. /사진=뉴시스
반면 더불어민주당은 새누리당의 공세에 ‘무책임한 색깔론’이라고 선을 그었다.
윤관석 수석대변인은 서면브리핑을 통해 “새누리당이 색깔론을 앞세워 사실관계도 불확실한 문제를 갖고 도 넘은 무책임한 정치공세를 하고 있다”며 “야권 유력 대선후보를 깎아내리고 권력게이트에 쏠린 국민의 시선을 돌리기 위해 정치공세를 펴는 것은 정말 후안무치하다”고 비판했다.
이어 그는 “현 정부에 대한 국정감사를 보이콧과 증인채택 방해로 내팽개쳐두고 파행으로 몰아가는 것도 모자라 이젠 야권 유력 대선주자 비방으로 국감을 망치려 하느냐”며 “새누리당이 진실을 밝혀야하는 것은 대통령 측근의 권력형 비리임을 명심하고 무책임한 공세를 즉각 중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논란의 중심에서 문 전 대표도 입을 열었다. 그는 이날 페이스북을 통해 “노무현 정부는 2003년부터 2005년까지는 그 결의안에 불참 또는 기권했고, 2006년 찬성, 2007년 다시 기권했다”며 “당시 늘 외교부(찬성)와 통일부(기권)를 중심으로 각 부처의 입장이 갈렸는데 노무현 대통령은 양측의 의견을 충분히 듣고 다수 의견에 따라 기권을 결정했다”고 해명했다.
이어 그는 “송민순 전 장관의 책을 보면서 새삼 생각한 것은 노무현 정부가 참으로 건강한 정부였다는 사실”이라며 “노무현 정부는 대북송금특검, 이라크파병, 한미FTA, 제주해군기지 등 중요한 외교안보사안이 있을 때 항상 내부에서 찬반을 놓고 치열한 토론을 거쳤다. 시스템을 무시하고 사적인 채널에서 결정하는 일은 더더욱 없었다. 청와대의 의사결정과정은 이래야 한다고 생각한다. 박근혜 정부는 노무현 정부를 배우기 바란다”고 꼬집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