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공=유의동 새누리당 의원실
보험사가 건강한 사람을 대상으로 보험료를 할인해주는 ‘건강 특약’ 가입률이 최근 3년간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보험사의 안내 실태 점검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유의동 새누리당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3년간(2014~2016년 6월) 보험사들을 대상으로 신계약 중 건강특약 가입률을 조사한 결과 보험사들의 평균 건강특약 가입률은 약 1.42%에 불과했다.
‘건강특약’은 종신보험이나 정기보험 등 사망을 보장하는 상품에 가입한 고객 중에서 건강관리 고객을 대상으로 보험료를 할인해 주는 제도로 비흡연, 혈압, BMI 3가지 조건을 충족할 경우 가입할 수 있다. 건강특약에 가입하면 평균적으로 남성은 8.2%, 여성은 2.6% 가량 보험료가 저렴해진다.
3가지 조건(비흡연, 혈압, BMI)을 특약으로 내세우는 보험사 중 삼성생명을 제외한 모든 보험사들이 평균 가입률보다 낮았다. 특히 한화생명, 흥국생명, 알리안츠생명, 동양생명, 현대라이프생명의 건강특약 가입률은 1%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의동 의원은 “건강특약은 보험가입자들의 당연한 권리”라며 “보험사에서 건강특약을 제대로 설명하고 있는지 금융당국의 면밀한 실태 점검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