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보사는 국내 임상 결과 퇴행성관절염 환자에게 수술 없이 단 1회만 주사제를 투여해도 1년 이상의 통증 완화와 활동성 증가 효과를 확인한 바이오신약이다.
코오롱생명과학은 미쓰비시다나베제약으로부터 계약금 25억엔(약 271억원)과 인보사의 일본 내 임상개발, 허가, 상업화에 따른 단계별 기술료(마일스톤)로 432억엔(약 4695억원)을 받게 된다. 제품 출시 후에는 별도로 두자리 수 퍼센트의 판매 로열티도 받는다.
전세계 매출 순위 50위권 내에 드는 글로벌 제약회사인 미쓰비시다나베제약은 인보사의 일본 시장에 대한 독점적 개발 및 판매 권리를 갖고 일본 임상시험 및 품목허가를 진행하며 코오롱생명과학은 제품을 생산해 일본 시장에 공급한다.
이우석 코오롱생명과학 대표이사는 “이번 기술 수출의 의미는 인보사가 세계적으로도 그 가치를 인정받았다는 것”이라며 “엄격한 품질관리로 유명한 일본 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출한 덕분에 향후 다른 국가에 대한 기술 수출도 탄력을 받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인보사는 코오롱그룹이 17년간 투자를 지속하며 공을 들인 결과물이다. 국내에서는 코오롱생명과학이 임상 3상까지 완료한 후 올 7월 유전자 치료제로는 최초로 식품의약품안전처에 품목허가 신청을 완료했다.
미국에서는 티슈진이 임상 2상 시험을 성공적으로 마친 후 지난해 임상 3상을 승인 받아 현재 본격적인 3상 준비에 들어갔다. 티슈진은 미국 임상 3상을 통해 미국 식품의약국(FDA)로부터 인보사를 퇴행성관절염을 근원적으로 치료하는 약물인 디모드(DMOAD)로 승인받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