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정부대책으로 분양시장이 위축되면 그동안 국내경제를 지탱했던 건설경기도 타격을 입을 것이란 분위기가 지배적이다. 하지만 한편에서는 부동산거품을 잠재우고 단기차익을 노리는 투기수요를 막아 주택 실수요자가 혜택을 입는 긍정적 효과도 기대하고 있다.
◆공급조절 → 수요조절 '정부정책 대전환'
전문가들은 대체로 이번 부동산대책에 의해 청약수요가 감소하고 분양시장이 위축될 것으로 보고 있다.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수석전문위원은 "인기 분양시장에서 단타를 노리는 투기적 청약을 억제하는 효과는 확실히 있을 것 같다"고 내다봤다. 그는 "이번 대책이 당초 예상보다 강도 높은 데다 그동안 정부가 공급조절에 초첨을 둔 반면 이제는 수요조절 카드를 꺼냈다는 점에서 정책방향의 대전환을 의미한다"며 "하지만 실수요시장이 정착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건설업계 역시 해외수주 급감으로 국내 주택시장 의존도가 높아진 상황에서 이번 정부대책의 타격이 적지 않을 전망이다. 특히 올해 연말이나 내년 초 분양이 예정된 건설사들은 청약경쟁률 하락과 구매심리 위축 탓에 사업추진이 어려워질 수 있다.
대형건설사 관계자는 "당분간 집값이 오를 것이란 기대를 하기가 어려운 만큼 주택구매를 미루는 수요가 많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또다른 건설사 관계자는 "강남뿐만 아니라 서울 다른 지역, 지방까지 분양시장이 위축되지 않을까 걱정"이라고 말했다.
/사진=뉴스1
◆규제 피한 지역 '풍선효과'… 주택시장 안정화 기대도
전매제한 등이 적용되지 않는 지역에는 투자수요가 몰리는 '풍선효과'가 예상된다. 건설업계의 한 관계자는 "이미 분양계약이 끝난 단지는 전매제한 기준이 종전과 동일해 일부 단지로 투자수요가 몰릴 수 있다"며 "그러나 전체적으로는 시장 분위기가 가라앉아 풍선효과도 제한적일 것"이라고 말했다.
일부 전문가는 투기수요 대신 실수요자 위주로 분양시장이 재편되면서 시장 안정화가 이뤄질 것으로 기대했다.
함영진 부동산114 리서치센터장은 "강남4구나 과천의 경우 입주 때까지 전매가 금지되면 단기차익을 노리는 투자수요의 유입을 끊어 실수요자 입장에서 당첨확률이 높아진다"며 "장기적으로는 인근 신규단지의 고분양가 행진에도 제동이 걸릴 것"이라고 전망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