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핵. 박지원 국민의당 비대위원장. /자료사진=뉴시스

청와대가 사실상 탄핵 추진을 요구한 데 대해 박지원 비대위원장이 부정적인 의견을 밝혔다.
어제(20일) 검찰이 최순실 게이트 관련 박근혜 대통령을 공동정범으로 보고 피의자 신분으로 조사하겠다고 밝힌 가운데 청와대는 차라리 합법적 절차에 따라 논란이 매듭되기 바란다며 사실상 탄핵 소추에 대비하겠다는 뜻을 내비쳤다.

박지원 국민의당 비대위원장은 이에 "청와대에서 탄핵을 유도하지 않나. 만약 부결이 되면 어떻게 될까. 정치권이 박근혜 대통령의 덫에 걸렸다"고 밝혔다.


박지원 비대위원장은 탄핵결정에 헌법재판관 6인의 인용이 필요하다며 "만약 인용이 안 되면 기각되는 것이다. 이는 모든 것에 면죄부를 주게 된다"고 말해 박 대통령이 헌재의 기각 결정을 염두에 두고 탄핵을 의도적으로 선택하는 것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하기도 했다.

박 비대위원장은 또 탄핵 소추 이후 상황에 대해 "황교안 총리가 업무수행을 하고 대통령 직무대행을 한다고 하면 죽 쒀서 개 주는 것"이라며 신임 총리 인선 없는 탄핵소추는 무의미하다고 주장했다. 이어 "그래서 내가 줄기차게 얘기한 게 선 총리 후 퇴진이다. 그런데 그걸 안 하고 이 판국에 와버리면 이제는 안 하겠다는 것"이라며 총리 추천 관련 야당 간 합의가 되지 않는 상황을 비판하기도 했다.

박 위원장은 "분노의 촛불 민심은 대통령을 인정 안 한다. 그렇지만 국회에선 총리를 임명할 때까지는 대통령을 인정하고 (영수회담에) 나가 줘서 거국중립내각의 총리가 결정되면 그 사람도 대통령에게 임명장은 받아야 된다"며 다시 한번 신임 총리 인선을 해야한다는 의견을 밝혔다.


한편 박 대통령이 지난 20일 청와대와 변호인을 통해 검찰 조사를 거부하고 사실상 탄핵 소추를 요구하는 의사를 밝히면서 일부에서 탄핵을 추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야권 유력 대선후보로 꼽히는 문재인 전 민주당 대표, 안철수 전 국민의당 상임대표 등은 어제 비상시국 정치회의를 갖고 대통령 퇴진을 우선 요구하되, 이와 병행해 국회에 탄핵 추진을 요청하는 합의문을 발표했다. 집권당인 새누리당에서도 비박계를 중심으로 어제 비상시국위원회를 열어 즉각 탄핵 절차에 착수할 것을 요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