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공항이 동북아 항공물류 허브 선점을 위해 물류경쟁력을 키운다. 공항 배후에 3단계 물류단지와 글로벌 특송사 터미널을 신규조성하고 신성장화물 및 전자상거래를 위한 특화전략을 마련해 물류처리속도를 키운다.
정부는 14일 제21차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의 ‘인천공항 항공물류 경쟁력 강화방안’을 논의·확정했다. 이번 방안은 동북아 항공물류 허브 선점을 위한 선제적 정책대응이 필요하다는 인식에서 마련됐다.
우선 물류단지 입주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3단계 물류단지를 신규 개발한다. 물류단지에 입주하려는 수요(13개사, 25만㎡)와 비교해 기존 1·2단계 물류단지 가용 용지가 부족(입주율 98%, 잔여부지 2만㎡)하다는 판단에서다.
3단계는 물류처리 효율을 고려해 화물터미널 북측에 32만㎡ 규모로 개발할 예정이다. 사업비 약 411억원을 투입해 환적 물동량 창출, 신(新)성장화물 유치, 중소기업 육성 등을 위한 단지로 개발한다. 인허가와 설계‧건축을 병행하는 패스트트랙 방식을 활용해 2019년에 공급을 개시할 방침이다. 신성장 화물 관련 기업 등 타겟기업 유치를 위해 인천공사 부지공급 기준을 개정하고 임대료·인센티브 등 계약 조건도 차등화할 계획이다.
신성장 항공화물 지원체계를 강화하기 위해 제2 여객터미널 남측에 신선화물 전용처리 시설도 건설한다. 동북아 최초로 벨리 전용 신선화물 보관창고, 환적 작업장 등을 갖춘 쿨 체인 설비를 구축하고, 2018년부터 운영한다. 처리시설 운영시 의약품, 식품 등 신선화물이 환적을 위해 대기하는 동안 적정 온·습도 유지가 가능해진다. 환적시간도 4시간에서 2시간30분으로 단축된다.
또 중소 전자상거래 업체의 역직구 물류비용 절감을 위해 항공사가 전자상거래 물품의 통관, 항공운송, 현지 배송 등을 일괄 처리하는 항공배송 프로세스 개선 시범사업을 추진한다.
인천공항의 물류허브 기능도 강화한다. 특송 항공사 수요에 맞춰 공사가 직접 화물터미널을 개발 후 시설을 임대하는 BTS방식을 최초로 도입한다. 페덱스(FedEX) 전용 화물터미널을 BTS 방식으로 신규 건설하고 DHL 터미널 증축도 지원해 그동안 주로 중국을 통해 운송되던 특송사 환적 물량을 인천공항에서 흡수할 계획이다.
상용화주제 제도를 개선해 화물 처리속도를 향상시킬 계획이다. 상용화주제는 정부가 보안능력을 인정한 지정화주 또는 포워더가 자체 보안 검색시, 화물터미널에서의 항공사 보안검색을 면제해 물류흐름을 신속하게 하는 제도다.
또 팰릿(대형화물 운반대) 공동화를 통해 수입화물 처리속도도 향상시킬 계획이다. 기존에는 항공화물이 하기 후 물류단지로 이송시 항공사의 팰릿 회수에 따른 이적작업이 발생했다. 앞으로는 공항 내 화물터미널~물류단지 간 공용 팰릿을 제공해 불필요한 이적작업을 생략하고 물류단지 내 수입화물 처리시간을 1시간 단축시킨다.
국토부 관계자는 "이번 대책의 차질 없는 추진을 통해 2020년까지 인천공항 물동량을 연간 300만톤으로 증대시키고, 화물분야 세계 2위 공항의 지위를 확고히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