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뉴스1DB
300인 이상 대기업의 일자리 증가폭이 4년 반 만에 최소 수준으로 떨어졌다.
25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기준 300인 이상 기업의 취업자는 247만4000명으로 지난해보다 3만7000명 늘어나는데 그쳤다. 이는 8000명이 감소한 2012년 5월 이후 가장 적은 수준이다.

5∼299인 업체(25만6000명)나 1∼4인 업체(4만6000명)보다 증가폭이 적었다. 300인 이상 기업 취업자는 전월인 10월(243만8000명)에도 3만6000명 늘어나는 등 2개월 연속 3만명대 증가에 머물렀다.


지난해 11월 대기업 취업자는 전년 동월 대비 17만명 급증했다. 올해 6월까지도 14만2000명 늘어나는 등 10만명대 증가세를 유지했다. 그러나 7월 8만9000명으로 급감한 뒤 8월 4만6000명, 9월 4만5000명으로 꺾였고 이후에도 내리막길을 걸었다.

대기업 취업자 증가세 둔화는 산업 구조조정과 경기 불황이 겹친 탓이다. 국내 대기업의 주력 산업 중 조선업, 해운업 등은 구조조정으로 몸집을 줄이고 있다. 많은 대기업들이 신입사원을 채용하고 1∼2년간 교육하는데 들어가는 비용을 최대한 줄이려는 모습이다.

이에 따라 대기업은 채용을 줄이거나 청년 신입 직원을 대규모로 뽑는 대신 당장 생산활동에 투입할 수 있는 경력직을 일부 채용하는 방식으로 대응하고 있다.


지난 9월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여론조사기관인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해 210개 대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절반에 달하는 48.6%가 올해 신입과 경력을 포함해 자사의 신규 채용 규모가 지난해보다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