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뉴스1 DB

지난해 우리나라 자동차산업이 생산과 내수‧수출판매 모두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신흥국 경기침체와 글로벌 자동차수요 둔화 등 외부적 요인과 파업과 해외생산 확대 등이 겹친 결과다.

10일 ‘2016년 자동차 산업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자동차산업은 생산 7.2%, 국내 판매 0.4%, 수출 11.8% 각각 감소했다.


지난해 국내공장에서는 전년대비 7.2%줄어든 423만대가 생산됐다. 신흥국 경기침체로 인한 수출 감소와 일부업체 파업에 따른 생산차질 등으로 생산량이 감소했다.

특히 전세계적으로 자동차수요가 둔화되고 현대‧기아차 등 국내브랜드의 해외생산이 증가하며 수출량은 전년대비 11.8% 감소한 262만대를 기록했다. 수출금액은 406억달러로 전년대비 11.3% 줄었다.


내수시장은 다양한 신차출시에도 불구하고 하반기 개별소비세 인하 혜택이 종료되며 전년대비 0.4% 감소한 182만5000대의 판매를 기록했다. 국산차는 상반기 개별소비세 인하정책과 SM6, 말리부, K7, 그랜저 등 신차효과로 전년대비 1.0% 증가한 157.3만대를 판매했다.


다만 승승가도를 달리던 수입차는 일부 브랜드가 디젤게이트, 인증조작 등의 사태에 휘말리며 전년대비 8.3% 감소한 25만2000대를 판매했다.

수출은 유럽과 대양주를 제외한 전 지역에서 감소했다. 지난해 1~11월 지역별 수출물량을 보면 미국에서는 시장수요가 확대됐지만 승용시장이 부진했고 멕시코 공장이 가동되며 수출물량이 10.7% 줄었다.

수출물량은 중국과 신흥시장에서 가장 많이 줄었다. 우선 중국과 동남아시아 시장에서는 국내 완성차업체의 현지화전략이 영향을 미쳐 33.8% 감소했다. 아프리카‧중동은 저유가에 따른 경기침체로 수출이 각각 36.5%, 28.4% 각각 급감했다. 중남미는 브라질 경기침체의 영향으로 19.4% 줄었다..

다만 유럽연합(EU) 수출은 2.5% 증가했다. 벨기에, 이탈리아, 폴란드 등의 수출이 호조를 띈 영향이다. 지난해 1월부터 FTA효과로 무관세가 적용된 대양주 지역도 11.4% 증가했다. 차급별로는 소형 SUV가 독주했다. 투싼, 스포티지, 티볼리, 트랙스 등이 인기를 끌었다.